"전자담배, 금연 대안일까"…'연기없는사회연구회' 9일 심포지엄

 흡연 피해를 연구하는 전문가 단체인 '연기 없는 사회를 위한 연구회'(회장 윤방부)는 오는 9일 대구광역시 계명대 동산병원에서 '금연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연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연구회는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들의 건강 위해성을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 마련에 대해 집중 조명한다는 계획이다.

 연구회 윤방부 회장(선병원 재단 회장)은 "세계 각국 정부의 다양한 금연 정책에도 불구하고 흡연율이 제로가 되지 않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이제는 담배를 끊지 못하는 흡연자들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으로 전자담배를 권할 수 있는 정책의 전환을 제안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윤 회장은 "금연운동은 지속해서 유지하되, 금연 노력에도 불구하고 담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별도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라며 "전자담배가 과학적으로 담배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주장도 수용하는 방향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계명대 동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대현 교수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흡연이 환자들의 중증도와 사망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탈모 예방에 효과…특허 등록"
국내 자생식물인 보리밥나무가 모발 성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를 강화해 탈모 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상록 활엽 덩굴나무인 보리밥나무는 해안 지대에서 잘 자라며, 작은 가지에 은백색과 연한 갈색의 비늘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동조'(冬棗)라는 한약재로 불리며 천식·기침·가래·당뇨 등 증상에 약재로 활용돼 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모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산림바이오자원 발굴을 위해 170여종의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보리밥나무가 모유두세포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1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 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유두세포 활성이 150%, 30㎍/㎖에서는 1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두세포와 관련된 바이오마커(체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역시 보리밥나무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무자극 등급을 받아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앰플 시제품을 제작해 활용성과 안정성까지 검토했다고 산림과학원은 전했다. 해당 연구 결과에 대한 특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