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나면 '이 벽'을 파괴해보세요…"어떻게?"

화재시 탈출구 역할하는 경량 칸막이
주먹 한 번에 '우지끈'…여성·노약자는 도구 쓰면 쉬워
"물건 쌓아두지 말고, 망치 등을 옆에 둘 것"

 "화재 시 이 벽을 파괴하세요!"라는 스티커가 붙은 벽이 있다.

 '경량 칸막이'로 불리는 이 벽은 비상 상황에서 현관이나 계단으로 대피하기 어려울 경우 뚫고 피난할 수 있는 약 0.9㎝ 두께의 석고보드다.

 실제로 2020년 광주의 44층 아파트에서 불이 나자 30대 여성이 발코니에 있는 경량 칸막이를 부수고 옆 세대로 대피하는 일이 있었다.

 이처럼 경량 칸막이는 위급 상황에서 목숨을 구할 수 있는 비상구이니 위치와 파괴 방법을 평소에 알아두는 게 좋다.

 ◇ 주먹 한 번으로도 부술 수 있어…도구를 먼저 사용하면 쉬워

 지난 7일 오후 강원도 삼척소방서 내 간이 경량 칸막이를 활용해 체험을 진행했다.

간이 경량 칸막이는 경량 칸막이 한 개와 내장재 역할을 하는 스티로폼을 철 틀에 고정한 구조의 체험 장치다.

 실제 공동주택의 경량 칸막이 구조는 내장재 뒤에 옆 세대의 경량 칸막이가 하나 더 있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경량 칸막이를 눈앞에서 보면 단단한 벽처럼 보이기 때문에 자기 힘으로 부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잘못 때렸다가 오히려 다치진 않을지 걱정도 된다.

 우려와 달리 보통 체격의 20대 남성인 기자가 주먹을 내지르자 '쾅' 하는 소리와 함께 팔꿈치까지 경량 칸막이 안으로 밀려들어 갔다.

 구멍이 난 곳 밑에 발차기를 가볍게 한 번 하니 경량 칸막이가 와르르 무너지기도 했다.

 경량 칸막이의 강도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간이 액자나 골판지 수납장 등을 생각하면 편하다.

 다만 몸이 약한 사람이라면 맨몸으로는 경량 칸막이를 부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근력이 약한 20대 여성 기자가 주먹과 발로 경량 칸막이를 온 힘을 다해 때려봤지만 '쿵'하는 소리만 울릴 뿐 부서지지는 않았다.

 이럴 경우 핸드폰, 가위, 망치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구를 먼저 사용해 경량 칸막이에 구멍을 내면 쉽게 파괴할 수 있다.

 15㎝ 길이의 작은 가위로 30초 동안 경량 칸막이에 구멍을 낸 뒤 다시 발차기를 해봤다.

 조금도 갈라지지 않았던 이전과 달리 허벅지까지 경량 칸막이에 들어가며 쉽게 부술 수 있었다.

파괴된 부분 근처를 몇 번 더 발로 차니 나머지 부분도 쉽게 깨졌다.

 실제 상황이라면 옆 세대의 경량 칸막이까지 파괴하고 넘어가야 하므로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노인 등 근력이 약한 사람이 집에 살고 있다면 경량 칸막이 근처에 망치와 같은 도구를 두는 편이 좋다.

 ◇ 위급 상황에서 경량 칸막이 활용하려면…위치 파악·물건 쌓기 금지

 1992년 주택법 개정에 따라 3층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발코니 등에 있는 세대 간 경계벽을 경량 칸막이로 설치해야 한다.

 보통 경량 칸막이에는 '화재 시 이 벽을 파괴하세요!'라는 홍보 스티커가 붙어있어 찾기 쉽다.

 최성훈 삼척소방서 현장 지휘 팀장은 "화재 시 당황하면 자기 집의 경량 칸막이 유무와 위치를 잊어버릴 수 있다"며 "평소 경량 칸막이 위치를 알아두는 게 중요하며, 만약 경량 칸막이 스티커가 붙어있지 않다면 관리사무소 등을 통해 세대 내 경량 칸막이 위치를 미리 알아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량 칸막이 앞에 물건을 쌓아두면 실제 불이 났을 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경량 칸막이 앞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