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신약 레스메티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에 게임 체인저"

 실험 신약 레스메티롬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에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아주 적게 마시는데도 간에 지방이 쌓이는 현상으로 방치하면 간 섬유화-간경화-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만, 당뇨병 등이 위험 요인이다.

 미국의 간 건강 관련 임상시험 전문 연구기관인 피너클 임상연구소(Pinnacle Clinical Research)의 스티븐 해리슨 교수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966명(평균연령 56세, 남성 44%, 백인 90%)을 대상으로 52주에 걸쳐 진행한 3상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은 임상시험 시작 때 조직검사에 의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활동 점수가 4점, 간 섬유화 단계는 F1B, F2 또는 F3, MRI 측정 간 지방은 최소 8% 이상이었다.

 임상시험의 1차 평가변수는 풍선 변성 점수(ballooning score) 0점, 염증 점수 0~1점, 비알코올성 지방간 활동 점수 2점 감소였다.

 임상시험 시작 때와 52주 후 간 조직검사 결과를 두 병리 전문가가 따로따로 평가했다. 그 결과 레스메티롬이 투여된 환자는 1차 평가변수에 대한 반응 강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병리 전문가의 평가는 비슷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활동 점수의 악화 없는 간 섬유화가 최소한 1단계 이상 개선된 경우는 레스메티롬 80mg 그룹이 24%, 100mg 그룹은 26%로 나타났다.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은 14%에 머물렀다.

 간 지방은 80mg 그룹이 42%, 100mg 그룹은 51%,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은 10%가 줄었다.

 또 80mg 그룹은 26%, 100mg 그룹은 30%가 간 염증이 해소됐다. 대조군은 10%에 그쳤다.

 남부 덴마크 대학 오덴제 간 연구센터의 간 전문의 알렉산데르 크라그 교수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결과"라면서 이 약이 승인된다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논평했다.

 현재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승인된 치료제가 없다.

 부작용은 위장관과 관련된 것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부작용은 설사였다.

 실험군은 34%가 설사가 나타나 평균 2주간 계속됐다. 대조군은 16%만이 설사가 나타났다.

 실험군은 임상시험이 시작된 후 첫 몇 주 사이에만 설사 발생률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그 후 임상시험이 계속된 52주 동안은 설사 발생률이 대조군과 비슷했다.

 연구팀은 이 임상시험을 앞으로도 54개월 동안 더 계속할 예정이다.

 레스메티롬은 마드리갈 제약회사가 개발한 선별 갑상선 호르몬 베타 작용제로 지방간 대사를 증진하고 간 독성을 떨어뜨린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간 연구 협회(EASL)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의료정상화 현 정부서 해결해야"…정부·국회에 대화 요구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정부와 국회에 의료정상화를 위한 의료계의 제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의협은 이날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의료 정상화는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며 이같이 요구했다. 의협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문은 의료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에 대해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하라고 한 계엄군의 포고령이 헌법상의 권리 또는 직업의 자유는 물론 국민의 기본권을 광범위하게 제한했다고 명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작년 근거 없는 의대 정원 2천명 증원을 발표한 이후 수련을 포기한 전공의들에게 가해진 업무개시명령 등 행정명령의 위헌적 소지가 있음을 간접 증명하는 내용"이라며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무리한 행정명령 부과에 대한 사과를 요구한다"고 했다. 이어 의협은 의료 개혁을 논의하는 사회적 협의체인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의협은 "대통령이 사라진 지금 대통령 직속 특위가 유지돼야 한다는 궤변은 도대체 어디에 기초하고 있느냐"며 "의개특위를 멈추고 의료 개혁과제는 의협 등 의료계와 심도 있게 원점에서 재논의하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세계 첫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 국내 개발…"자급력 강화"
질병관리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재조합 단백질' 방식의 흡착탄저백신(배리트락스주)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약품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9일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 백신은 탄저균의 방어항원(Protective Antigen)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전 세계 첫 번째 사례다. 식약처는 전담 심사팀을 구성해 해당 품목의 안전성·효과성 및 품질을 심사하고, 감염내과 전문의 등으로 구성된 외부 전문가의 자문과 중앙약사 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종 허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상용화로 그간 전량 수입해오던 탄저백신을 자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백신 수입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또한 생물테러 등 유사시 충분한 물량을 즉각적으로 생산하고 확보할 수도 있게 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탄저백신 국산화를 통해 생물테러 등 국가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다양한 백신을 지속해서 개발하고, 국가 위기 상황에 대비해 탄저백신의 생산·비축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증상에 따라 피부 탄저, 위장관 탄저, 흡입 탄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