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프레소가 알츠하이머 예방?…"타우 단백질 응집 억제"

伊 연구팀 "시험관 실험서 타우 응집 억제…생리활성 등 후속연구 필요"

 진하게 추출한 커피로 아이스 아메리카노나 카페라테 등을 만들 때 사용하는 에스프레소가 알츠하이머병 원인 물질 중 하나로 꼽히는 타우 단백질 응집을 막는 작용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탈리아 베로나대 마리아피나 도노프리오 박사팀은 20일 미국 화학회(ACS) 학술지 '농업 및 식품 화학 저널'(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에서 시험관 실험 결과 에스프레소 화합물이 알츠하이머병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에스프레소는 물이나 수증기를 고온고압으로 곱게 분쇄한 커피 원두에 통과시켜 추출하는 짙은 농도의 커피로, 그 자체로 마시거나 물이나 우유에 섞어 아메리카노나 카페라테 등을 만들기도 한다.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생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타우 단백질 응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최근 연구에서 커피가 알츠하이머병 등 특정 신경 퇴행성 질환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오는 것에 착안, 시험관 실험을 통해 에스프레소에 들어 있는 화합물이 타우 단백질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먼저 시중에서 판매되는 원두에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핵자기공명(NMR) 분광법으로 성분을 분석했다. 이어 시험관 실험을 통해 성분 중 알칼로이드인 카페인과 트리고넬린, 플라보노이드인 제니스테인과 테오브로민의 작용을 조사했다.

 각 분자와 에스프레소 전체 추출물을 짧은 형태의 타우 단백질과 섞어 최대 40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타우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그 결과 에스프레소 추출물, 카페인, 제니스테인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타우 단백질이 뭉치면서 생기는 원섬유 길이가 더 짧아졌으며 큰 덩어리도 만들어지지 않았다. 응집 억제 효과는 에스프레소 전체 추출물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실험에서 타우 단백질이 뭉쳐 만들어진 짧은 원섬유는 세포 독성이 없었으며 추가 응집을 일으키는 '씨앗' 역할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실험 결과가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 퇴행성 질환에 대한 다른 생리활성 화합물을 찾거나 설계하는 길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에스프레소의 실제 효과를 알아보려면 생체 실험 등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급여 항목' 보고제도에 의료기관 95% 참여…나머지 5% 과태료 부과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 항목 보고제도에 전체 의료기관의 95%가 참여했다고 보건복지부가 10일 밝혔다. 복지부는 올해 4월 15일 비급여 보고 제도를 전체 의료기관 7만2천815곳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했다. 지난해에는 병원급 의료기관 4천245곳만 참여했다. 비급여 보고제도는 의료법 등에 따라 의료기관이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 비용과 내역 등을 보건당국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한 제도다. 비급여 진료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는데, 이런 비급여 현황을 파악해 국민이 합리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은 의료기관 5%는 의료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될 예정이다. 올해 보고 기간(4월 15일∼6월 30일)에 각 의료기관은 3월 진료내역 중 비급여 항목별 단가, 빈도, 상병명, 수술명 등을 보고했다. 올해 보고 항목은 총 1천68개로, 지난해(594개)보다 474개 늘었다. 복지부는 이번에 모은 비급여 보고 자료를 분석해 특정 질환 치료·수술 비용이나 진료 안전성·효과성 등 필요한 정보를 올해 안에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