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 질환, 최대 8년 전 징후 나타나"

 염증성 장 질환(IBD)은 최대 8년 전에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염증성 장 질환은 면역체계가 대장(궤양성 대장염) 또는 주로 소장(크론병)을 표적으로 오인, 공격함으로써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 질환이다. 완화-재발이 반복하며 진행된다.

 덴마크 올보리(Aalborg) 대학 의대 염증성 장 질환 분자 예측센터(PREDICT)의 티네 예스 박사 연구팀 IBD 환자 2만673명(크론병 7천739명, 궤양성 대장염 1만2천934명)과 IBD 병력이 없는 455만623명의 전자 건강 기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 두 그룹이 IBD 진단 전 10년 사이에 받은 각종 검사 결과를 대조했다.

 그 결과 특히 혈액 검사에서 두 그룹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선 크론병 환자는 친단 8년 전에 백혈구와 혈소판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 7년 전에는 체내 염증을 나타내는 C-반응성 단백질(CRP) 수치가 높고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인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았다.

 5년 전에는 철분과 알부민 혈중 수치가 낮고 백혈구의 일종인 단핵구 수치가 높았다.

 한편 궤양성 대장염 환자는 진단 3년 전에 CRP, 백혈구, 혈소판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IBD가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유병률이 1형 당뇨병의 2배나 되는 불치 질환이라면서 예방을 위해서는 이 병의 정확한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근거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치료 또는 예방 전략을 세울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캘리포니아 메모리얼 케어 오렌지 코스트 메디컬센터 소화기내과 전문의 바바크 피로지 박사는 염증성 장 질환은 일찍 발견하면 장에 커다란 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합병증과 수술 필요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환자가 전형적인 증상을 느끼기 시작하면 이미 상당한 장 손상이 일어난 뒤라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 의학 전문지 '셀 리포트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