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흡입 통로인 통조림·캔음료 '주4회 이상 섭취' 늘어…성인 흡연률 16.8%

2021~2023년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화장하는 사람 줄어

 비스페놀A와 에틸파라벤 등 유해물질이 인체로 들어오는 통로인 통조림과 캔음료 섭취 빈도가 더 빈번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에 화장하는 사람은 줄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최근 공개한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3차 연도 결과 요약문을 보면 통조림과 캔 음료 등 '캔 음식'을 일주일에 4번 이상 섭취한다는 비율이 성인과 중·고등학생 모두에서 4기 조사 때보다 늘었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국민 몸 안에 환경유해인자 농도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자 3년 단위로 실시된다.

 5기 조사는 2021~2023년 진행됐으며 6천608명(만 3세 이상 어린이와 청소년 2천329명·성인 4천279명)이 참여했다.

 5기 조사에서 캔 음식을 주4회 이상 먹는 것으로 조사된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4.2%와 8.8%로 2018~2020년 수행된 4기 조사 때(3.7%와 7.5%)보다 높아졌다.

 다만 캔 음식을 일주일에 1~3회 먹는다는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17.6%와 37.5%로 4기(19.3%와 38.8%)보다 줄었다.

 한달에 1~3회 섭취한다는 비율은 성인에선 40.7%, 중고생에선 40.3%로 4기(34.8%와 37.1%)보다 증가했다.

 캔 음식을 안 먹는 비율은 성인 13.4%와 중고생 37.5%로 4기(16.7%와 42.1%)에 견줘서 줄었다.

 비스페놀은 통조림 내부 코팅제, 파라벤은 음식에 박테리아·곰팡이·진균 등이 생기지 않도록 막는 보존제로 사용된다.

 비스페놀류와 파라벤류 모두 내분비계를 교란하고 생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해당한다.

 일주일에 4번 이상 스킨·로션·에센스 외 화장품을 사용하는 비율은 성인 22.8%, 중고생 10.1%로, 4기(33.6%와 29.6%)보다 감소했다.

 화장품을 아예 쓰지 않는다는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60.2%와 69.9%로, 4기(44.7%와 42.0%)에 견줘 큰 폭으로 늘었다.

 5기 조사가 코로나19 대유행 때 이뤄진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에도 파라벤이 보존제로 들어간다.

 담배를 피우는 성인은 16.8%로 나타났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로 파악된 성인 흡연율은 1기 조사(2009~2011년) 때 22.5%에서 3기 조사(2015~2017년) 때 16.0%까지 감소했다가 4기(16.3%) 조사 때 반등해 5기 조사까지 오름세를 이어갔다.

 전자담배를 쓴 적 있다는 성인은 9.9%로 4기(8.0%)와 3기(4.9%)보다 많았다.

 현재 흡연자인 경우 45.8%가 전자담배를 사용해봤으며, 이 비율 역시 4기(37.8%)나 3기(24.5%)에 견줘서 높았다.

 어린이와 청소년 가운데 일주일에 한 차례라도 간접흡연을 당한 비율은 중고생 6.6%, 초등학생 3.4%, 영유아 1.3%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 소변 중 수은 농도는 영유아 0.273㎍/ℓ, 초등학생 0.288㎍/ℓ, 중고생 0.337㎍/ℓ, 성인 0.352㎍/ℓ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짙어졌다.

 카드뮴 농도도 영유아 0.213㎍/ℓ, 초등학생 0.247㎍/ℓ, 중고생 0.289㎍/ℓ, 성인 0.945㎍/ℓ 등 고연령일수록 고농도였다.

 성별로는 수은의 경우 모든 나이에서 남성이, 카드뮴은 성인에서만 여성이 높고 나머지 나이대에서는 남성이 높았다.

 발암성 화학물질로 자연에서 분해가 거의 안 돼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 혈청 내 농도는 성인의 경우 물질 종류에 따라 0.97~12.1㎍/ℓ, 중고생의 경우 0.419~6.12㎍/ℓ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연내 국민 환경유해인자 노출 수준 값을 통계청 국가승인통계로 발표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