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두드러기 질환, 줄기세포로 치료"

박세필 교수팀, 국제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

  제주대학교 바이오메디컬정보학과 박세필 교수팀은 동종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MMSC) 투여로 난치성 두드러기 질환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고 밝혔다.

 미래셀바이오가 주관해 동아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김혁순 교수팀, 한라병원 노건웅 박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기존 간질성 방광염에서 질환 완화 효능이 입증된 동종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의 적용 확대를 위한 이번 연구를 통해 난치성 만성질환인 두드러기 질환 비임상 모델에서도 치료 효과가 입증된 것이다.

 해당 질환 모델에서 MMSC를 통해 항히스타민제 투여 대비 1.5배,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투여 대비 2.6배로 우수한 피부 병변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만성 두드러기 질환은 삶의 질을 현저하게 저하하는 난치성 질환으로, 현재 확실한 치료법이 없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일시적 완화 효과를 보이는 항히스타민제 처방 수준이어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박세필 교수는 "MMSC의 추가적인 적용 확대를 위해 현재 제주대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인간치매유발 복제 제주흑돼지(JNUPIG, 2017년)'의 세포 치료제 개발 연구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인 미래셀바이오가 연구를 지원한 산학협동의 전형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된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