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68% "일자리 없다"…정신장애인은 90%가 무직

장애인삶 패널조사…71% "장애로 인해 가질 수 있는 직업 제한"

 노동을 통한 소득 창출은 경제적 자립의 중요한 기반이지만, 장애인의 대다수는 돈을 벌 수 있는 일자리가 없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장애인개발원의 '2022 장애인삶 패널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19세 이상 등록장애인 응답자 23만1천293명 중 68.2%(15만7천654명)는 현재 '돈을 벌 수 있는 일자리가 없다'고 답했다.

 남성 장애인은 62.2%가, 여성은 75.8%가 일자리가 없다고 해, 남성보다 여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여건이 더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일자리가 없다는 비율은 정신장애인이 90.3%로 가장 많았고, 뇌병변장애(89.5%)와 내부·안면 장애(78.1%)가 뒤를 이었다. 지체장애는 54.4%였다.

 일자리가 있다고 답한 장애인 중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31.7%로 가장 많았고, 임시근로자(25.3%), 일용근로자(11.9%) 순이었다.

 직원을 고용하지 않은 자영업자는 22.8%, 직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3.1%였고, 급여를 받지 않고 가족 사업을 돕는다는 응답자는 5.2%였다.

 남성 장애인의 경우 직원을 고용하지 않은 자영업자가 26.8%로 여성(14.8%)보다 많았다.

 여성 장애인 중 '무급 가족 사업 종사자'는 12.8%로 남성(1.4%)보다 훨씬 많았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지적·자폐성 장애인과 정신장애인 중 임시근로자는 각각 48.0%, 42.8%로 다른 장애 유형에 비해 많았다.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근로시간 형태는 '전일제' 67.5%, '시간제' 32.5%였다. 전일제로 일하는 남성 장애인은 75.9%로 여성(51.8%)보다 많았다.

 '장애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의 71.1%는 '장애로 인해 가질 수 있는 직업이 제한된다'고 답했다. 정신장애인의 88.4%가 이같이 답했다.

 이 밖에도 '장애로 인해 일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된다'(62.5%), '장애로 인해 5일 중 1일을 평균적으로 쉬어야 한다'(59.8%), '일할 때 계속 보조나 도움이 필요하다'(53.8%) 등의 답변이 나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