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진단 5~10년 전 뇌 회색질 두께 얇아져"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5~10년 전 뇌의 회색질(gray matter) 두께가 얇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뇌는 신경세포로 구성된 겉 부분인 회색질과 신경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백질(white matter)로 이뤄져 있다. 피질은 회색을 띠고 있어 회색질,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불린다.

 텍사스 대학 의대 알츠하이머병·신경퇴행 질환 연구소의 신경과 전문의 클라우디아 사티자발 교수 연구팀이 프레이밍햄 심장 연구(FHS) 참가자 1천 명(70~74세)의 MRI 뇌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10년 전에 찍은 뇌 MRI 영상으로 나중 치매가 발생한 사람과 치매가 나타나지 않은 사람을 구분할 수 있는지 연구했다.

 회색질 외피 두께 수치가 최하위 25%에 해당하는 사람은 나머지 75%에 해당하는 사람들보다 치매 발생률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회색질 두께가 두꺼울수록 전체적인 인지기능, 특히 일화 기억(episodic memory) 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화 기억은 본인이 겪은 과거의 사건들에 대한 기억으로, 과거에 만난 사람들이나 작년 축제에 관한 기억, 어렸을 때 크게 다쳤던 기억 등을 들 수 있다.

 인종과 민족이 달라도 이러한 결과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겠지만 앞으로 치매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사람들을 추적할 때 회색질의 두께를 치매를 예고하는 생물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는 또 치매 치료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팀은 회색질의 두께가 치매 위험을 높이는 ApoE4 변이 유전자와 관련이 있는지 살펴봤지만, 전혀 관계가 없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앞으로 심혈관 위험 요인, 식습관, 환경오염 노출 등이 회색질의 두께 변화와 관련이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다.

 치매는 뇌의 여러 다른 부위에 영향을 미치지만 알츠하이머 치매와 전측두엽 치매는 대뇌 피질에 변화를 가져온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Alzheimer's & Dementia)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약품 리베이트로 건보 재정 악화…약가제도 근본 개선해야"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은 지난 24일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는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뒷돈)를 근절하기 위해 약가제도와 유통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노조는 이날 조합원 1만4천명의 이름으로 낸 성명에서 최근 드러난 의약품 도매업체의 불법 리베이트 제공 사건을 언급하며 이렇게 주장했다.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조만래 부장검사 직무대리)는 최근 제약업체 대표 A씨와 대학병원 이사장 등 8명을 배임 수·증재, 의료법 및 약사법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기소 했다. A씨는 2019∼2024년 대학병원 측과 대형 종합병원 이사장 등에게 50억원가량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를 받는다. 노조는 "불법 리베이트와 입찰 담합 등으로 부풀려진 의약품 비용은 고스란히 국민 의료비 부담으로 전가되고, 불필요한 과다 의약품 처방까지 이어져 국민 건강과 생명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며 "이는 건강보험 재정 누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 결국 국민과 기업의 건강보험료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단속과 처벌만으로는 매년 반복되는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의 악순환을 끊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 대신 노조는 "공급자 간 가격 경쟁을 통한 약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