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 운동시켰더니…"뇌 인지기능 저하 막는 세포 수준 변화"

호주 연구팀 "운동한 생쥐, 노화된 뇌 면역세포 유전자 발현 젊게 변화"

 운동을 하면 뇌 기능을 지원하는 중추신경계 면역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노화로 인한 인지 기능 저하를 예방하거나 늦추는 데 도움이 되는 세포 수준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이 생쥐 실험에서 밝혀졌다.

 호주 퀸즐랜드대 제나 부코비치 교수팀은 20일 의학 저널 '에이징 셀'(Aging Cell)에서 생쥐에게 운동을 시키면서 운동과 노화가 생쥐의 뇌에 있는 개별 세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뇌의 노화를 늦추거나 되돌리면 인지 장애를 완화할 수 있다며 이전 연구에 따르면 운동이 인지 기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그 기저에 깔린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운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쥐에게 자발적으로 쳇바퀴 운동을 하게 하면서 단일 세포 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기억과 학습, 감정 등에 관여하는 뇌 부위인 해마(hippocampus)의 다양한 세포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 변화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또 미세아교세포를 약물로 제거하는 실험을 통해 해마에서 운동의 자극 효과로 새로운 신경세포가 형성되는 과정에 미세아교세포가 필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 18개월 된 생쥐에게 쳇바퀴 운동을 하게 한 결과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 해마에서 면역세포인 T세포 생성이 안 되거나 그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면역세포는 일반적으로 젊은 시절에는 뇌에서 발견되지 않다가 나이가 들면서 증가한다.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부코비치 교수는 "신체활동이 뇌의 면역세포 구성을 젊어지게 하고, 노화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역전시킨다는 결과에 놀라움과 흥분을 느꼈다"며 이 결과는 맞춤형 운동을 일상화하는 것이 노화와 그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 예방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 결과가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고자 하는 노인들이 실천할 수 있는 운동 방안을 개발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출처 : Aging Cell, Jana Vukovic et al., 'Exercise rejuvenates microglia and reverses T cell accumulation in the aged female mouse brain',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acel.1417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환자, 내달부터 치료비 부담 던다
오는 9월 1일부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방사선치료 체내고정용 재료'에 건강보험 필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그간 비용의 50%를 짊어져야 했던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을 최근 행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해당 치료재료가 임상적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방사선치료 체내 고정용 재료'는 체외 방사선 조사 시 치료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장 내에 삽입하는 일회용 재료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한 작은 기관이다. 해부학적으로 직장과 매우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 시 미세한 움직임에도 방사선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 출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방사선이 전립선암 조직에만 정확히 조사되도록 돕는 '방어벽'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해당 재료는 환자가 비용의 50%를 부담하는 '선별급여' 항목이었다.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