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멸종위기 야생식물 선정 '독미나리'…"함부로 먹지마세요"

대관령 일대 서식…습지 줄면서 2005년 멸종위기종 지정
어린 순은 율곡 이이도 즐겼지만…뿌리와 줄기에 '맹독'

 뿌리와 줄기에 독을 지녔지만, 한약재로 쓰이기도 하며 물을 정화해주기도 하는 '독미나리'가 6월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됐다고 환경부가 30일 밝혔다.

 독미나리는 북방계 식물로 아시아·유럽·북미 북부지역과 중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해있다.

 국내에선 강원 대관령 일대와 전북 군산 쪽에 서식하는데, 군산의 경우 과거 약용으로 재배하던 개체의 후손이 살아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 보면 우리나라가 독미나리의 최남단 서식지다.

 독이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독근근(獨芹根)이라고 불리며 약으로 쓰였고 어린 순은 나물로 무쳐 먹기도 한다.

 과거 율곡 이이가 강원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쪽에서 수학할 때 대관령에서 독미나리를 가져다가 옮겨 심고 나물로 즐겨 먹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후 2006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전국 분포 조사 때 대기리에서 독미나리 자생지가 확인됐는데 당시로선 이 자생지가 국내 유일 독미나리 자생지였지만, 이미 지방도로 확장·포장 구간에 편입돼 관련 공사가 80% 이상 진행된 상황이어서 사라질 위기였다.

 다행히 땅 소유주와 당국이 협의해 도로 노선을 변경하고 당국이 땅을 매입해 자생지가 지켜졌다.

 지금은 율곡 이이처럼 독미나리를 채취해서는 안 된다.

 2급 멸종위기 야생생물이기에 무허가로 채취하거나 훼손하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만원 이상, 3천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가공·유통·보관·수출·수입·반출·반입 시엔 2년 이하 징역형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된다.

 처벌뿐 아니라 독성을 고려해서도 독미나리를 함부로 먹어선 안 된다.

 독미나리 땅속줄기와 뿌리에는 레진의 일종으로 신경계에 작용하는 맹독인 시큐톡신이 있다. 시큐톡신은 가바(GABA) 수용체를 억제해 구토, 복통, 설사, 발한, 호흡곤란 등을 일으키며 양이 많을 경우 경련을 일으키고 호흡을 멎게 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