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청동기 유목민, 가마솥에 피순대·야크 젖 요리했다"

국제 연구팀 "2천700년 전 몽골 청동 가마솥에서 피·우유 단백질 확인"

 후기 청동기 시대인 2천700여년 전 몽골 초원에 살던 유목민들이 청동 가마솥을 이용해 동물 피와 곡물 등을 섞어 피순대(블러드 소시지. blood sausage)를 만들고 야크 젖을 발효시킨 것으로 밝혀졌다.

 스위스 바젤대 셰반 윌킨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6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몽골 북부에서 출토된 청동 가마솥에 대한 단백질 분석 결과 가마솥이 블러드 소시지를 만들기 위해 동물 피를 모으고, 야크의 젖을 발효시키는 데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그동안 유라시아 대초원에서는 청동기 시대와 철기시대 가마솥이 다수 발견됐지만 가마솥의 용도가 정확히 무엇인지는 불분명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2019년 몽골 북부 차가안 톨고이 지역에서 유목민 유물과 함께 발견된 두 개의 청동 가마솥에 대한 광범위한 단백질 분석을 수행했다.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 결과 이들 가마솥은 후기 청동기 시대인 약 2천700여년 전에 사용됐던 것으로 밝혀졌다.

 분석 결과 가마솥에는 주로 양과 염소 등 되새김 동물의 피가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동물 도축 과정에서 가마솥에 피를 모아 곡물 등과 섞어 소시지처럼 만든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현대의 몽골 요리 관습과도 유사한 것이라고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인 미국 미시간대 브라이언 밀러 박사는 "초원 거주자들에 대한 다양한 역사적 기록들은 이들이 동물의 피를 자주 마셨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 새로운 연구 결과를 통해 동물의 피가 이들의 식단에서 어떻게 이용됐는지를 더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윌킨 박사는 블러드 소시지 생산은 다른 초원 민족에게도 중요한 음식 보존 방법이었다며 "현대와 당시 요리의 유사점은 잘 밝혀져 있는 이 지역의 식습관 및 도축 관행과 함께 피를 가공해 먹는 것이 몽골 음식 문화 전통의 일부였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가마솥에서는 혈액 단백질 외에도 동물의 젖, 특히 가축화된 소와 야크의 우유 흔적도 발견됐다.

윌킨 박사는 "이는 몽골에서 야크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가축화돼 젖을 짜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우유나 야크의 젖은 요구르트 형태로 보존하기 위해 가마솥에서 발효됐거나 소시지 생산 재료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며 "이 발견은 청동기 시대 몽골 초원 유목민의 전통과 식생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고대 문명의 다양한 요리 방법에 대해 알려준다"고 덧붙였다.

 ◆ 출처 : Scientific Reports, Shevan Wilkin et al., 'Cauldrons of Bronze Age nomads reveals 2700 year old yak milk and the deep antiquity of food preparation techniques', http://dx.doi.org/10.1038/s41598-024-60607-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