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에 현장 노동자 목소리 반영할수록 정신적 스트레스 감소"

서울대 보건대학원, 코로나19 응급의료 담당 소방관 설문조사

 현장 노동자 목소리를 조직 의사결정에 반영할수록 이들이 받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지환 교수 연구팀이 산업보건 분야 국제학술지 직업환경의학저널 지난달 호에 게재한 논문을 보면 코로나19 응급의료서비스(EMS) 종사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조직문화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확진자 이송 등 업무를 수행한 서울 지역 소방공무원 693명을 상대로 번아웃(탈진)을 경험했는지, 우울 증상을 보였는지, 수면 문제를 겪었는지 등을 물었다.

 조사 결과 업무 관련 탈진을 경험한 소방공무원은 60.0%(416명)이었으며, 25.1%(174명)는 우울 증상을 보였다.

 노동자 중심 문화 수준이 높다고 답한 소방공무원(299명) 가운데 업무 관련 탈진을 겪었다는 응답은 41.5%(124명)였는데, 노동자 중심 문화 수준이 낮다는 소방공무원(178명)의 경우 82.0%(146명)로 두 배에 달했다.

 우울 증상이 있었다는 응답률은 14.4%(43명)와 43.8%(78명)로 세 배 차이가 났다.

 수면의 질이 낮거나 수면장애를 경험했다는 응답도 각각 44.8%(134명)와 73.0%(130명), 43.1%(129명)와 65.7%(117명)로 차이를 보였다.

 교신저자인 김승섭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연합뉴스 통화에서 "현장의 문제점을 가장 잘 아는 것은 일선에서 일하는 사람들"이라면서 "노동조합과 직장인협의회 등 일선 노동자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경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