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 킥보드' 안전·배려…한국 공유업계 성장 이끄는 시민의식

 이동의 시작과 마무리(퍼스트·라스트 마일)에 있어 편의성과 기동성을 제공하며 급성장한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PM) 업계가 최근 역기능을 지적받고 있다.

 흔히들 '전동 킥보드'로 대변되는 PM의 큰 문제 중 하나는 안전.

 별도의 완충장치가 없는 작은 기기가 사람의 2배 이상 빠르기로 움직이다 보니 충돌 때 사고가 커지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인도로 움직이자니, 이번엔 역으로 보행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게 된다.

 자전거 전용·겸용 도로들이 일부 있지만 대부분 인도 내부에 그려져 있어 법적 최고속도 25㎞/h로 움직이는 전동킥보드와 보행자 간 갈등은 피하기 어렵다.

 이에 전동킥보드의 최고 속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공유 모빌리티 앱 스윙(SWING)은 지난해부터 기본속도를 20㎞/h로 설정하고, 저속 주행상태(에코모드·15㎞/h)와 기존 법적 최고속도 모드(터보모드·25㎞/h) 선택도 가능한 시스템을 내놓았다.

 스윙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20㎞/h 이하 요금제(기본, 에코)를 선택한 이용자는 85%를 넘었다. 사고율은 0.0008% 수준으로, 1천300번 정도를 타야 한 번의 사고가 나는 셈이다.

 이용자들의 의식이 크게 높아진 점도 사고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유 전동킥보드가 국내에 도입된 2018년에 비해 전동킥보드 운영 대수는 200배 이상 늘었으나 전체 킥보드 사고 건수는 10배 정도 증가에 그쳤다. 사고 건수에 개인 킥보드 사고도 포함된 점을 감안하면 안전한 이용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는 방증이다.

 서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른 이용자에 대한 배려심이 많은 우리나라 이용자의 높은 시민 의식은 공유 모빌리티 등 공유 경제가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연착륙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스닥에 상장했던 미국 버드(BIRD)가 파산한 것과 달리 국내 공유 모빌리티 업계 빅2로 꼽히는 더스윙(스윙)과 지바이크(지쿠)는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국내 공유 오피스 기업인 스파크플러스, 패스트파이브도 순항 중이다.

 특히 미국 공유 오피스 기업 위워크가 파산한 것과 달리, 이 회사 한국법인인 '위워크코리아'는 지난해 400억원대 영업이익을 내며 좋은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차량 공유 역시 선두 주자 쏘카[403550]가 상장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최근 리콜 차량을 불법으로 공유한 혐의로 벌금을 부과받은 글로벌 선두 주자 짚카(ZIPCAR)와 대조를 이뤘다.

 스윙 앱을 운영하는 더스윙 김형산 대표는 "대한민국은 세계적으로도 공유 비즈니스 문화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은 몇 안 되는 국가"라며 "소비자들의 안전의식이 많이 올라오고 있는 가운데 법적인 강제 조정보다 필요에 따른 상황별 운행 유도가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