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22.5% 급감, 노인시설 17.2% 증가…저출산 고령화 탓

저출산에 작년 어린이집 2천개 문닫았다…노인시설 3천개 이상↑
어린이집 없는 지자체 597곳…대부분 시골 읍면 지역
전남·경북·경남, 100곳 이상 기초지자체에 어린이집 없어

 급격한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문을 닫는 어린이집이 늘어나면서 작년 전국에서 운영 중인 어린이집의 수가 전년보다 2천개 가까이 줄었고, 반대로 노인시설은 3천개 이상 크게 증가했다.

 어린이집이 아예 없는 시군구도 600곳 가까이 됐는데, 대부분은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시골 읍면지역이었다.

 보건복지부의 '2023년 12월말 기준 보육 통계'와 '2024 노인복지시설 현황'을 보면 작년 전국의 어린이집은 2만8천954곳으로 2022년 3만923곳보다 1천969곳 감소했다.

 어린이집의 감소세는 저출산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일은 아니다.

 전국 어린이집 수는 2019년 3만7천371곳에서 2023년 2만8천954곳으로 4년 사이 22.5%(8천417곳)나 줄었다.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동의 수가 그사이 136만5천85명에서 101만1천813명으로 25.9%(35만3천272) 급감한 데 따른 것이다.

 어린이집이 줄어들면서 전국 읍면동 기초자치단체 2만8천954곳 중 597곳(2.1%)에는 어린이집이 한 곳도 운영되지 않았다.

 대부분인 537곳이 시골의 읍면 지역이었고, 도시의 동 지역은 60곳이었다.

 어린이집 미설치 기초지자체는 광역시도 중 경상남북도와 전라남북도에 특히 많았다.

 경북 112곳, 경남 109곳, 전남 101곳, 전북 81곳이었다.

 경기는 17곳으로 상대적으로 적었고 서울도 4곳뿐이었다.

 반면 노인 인구의 증가로 노인시설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노인복지관, 경로당, 양로시설, 노인복지주택, 노인요양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등 노인복지시설은 2022년 8만9천698곳에서 작년 9만3천56곳으로 1년새 3천358곳이나 증가했다.

 2019년 7만9천382곳에서 2023년 9만3천56곳으로 늘어 최근 4년간 증가율이 17.2%(1만3천674곳)나 된다.

 특히 단기보호. 방문간호, 방문요양서비스 등 재가노인 복지시설이 4천821곳에서 1만5천896곳으로 3배 이상 늘었다.

 주민등록인구 기준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작년 연말 985만8천810명으로 2019년 연말 802만6천915명보다 22.8% 증가했고, 지난 10일 기준으로 1천만명을 넘어섰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