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화상환자' 3배 더 많은데…일주일새 응급실 더 악화

기관지 응급내시경 되는 곳 40% '뚝'…사지접합·안과 수술 등도 진료 가능한 곳 감소
복지부 팔 걷고 나섰지만…현장도, 응급의학 전문 군의관도 '손사래'

 응급의료센터에서 중증·응급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진료 역량이 최근 일주일 사이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주부터 일일 비상진료 브리핑을 열고 각종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응급실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

 8일 복지부에 따르면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 표출된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의 후속 진료 가능 여부 분석 결과, 이달 5일 현재 27개 중증·응급질환의 진료가 가능한 병원은 모두 88곳으로, 평시인 2월 첫째 주(109곳)보다 20% 가까이 줄었다.

 정확히 일주일 전인 8월 29일까지만 해도 27개 질환을 진료할 수 있는 권역·응급의료센터는 102곳이었는데 그사이 감소 폭이 급격히 커졌다.

 중앙상황판에 공개된 진료 가능 여부 표시는 해당 시점에서 의료기관이 직접 입력한 것으로, 시기나 그 원인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

 특히 중증·응급질환의 경우 환자의 발생 빈도가 높지 않아 평시에도 180곳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모두가 진료할 수 없지만, 최근 일주일 사이에는 눈에 띄게 진료 불가 사례가 늘었다.

 이달 5일 기준 가장 상황이 심각한 진료 분야는 성인 대상 기관지 응급내시경으로, 평시에 109곳에서 진료할 수 있었으나 5일 현재 60곳으로 45%나 급감했다. 일주일 전(100곳)과 비교해도 40% 줄었다.

 중증 화상을 진료하는 응급의료센터도 평시 44곳, 일주일 전 38곳에서 이달 5일 28곳으로 줄었다.

 모두가 중증은 아니라 하더라도 추석 연휴에 화상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평시의 3배가량 증가하는 점을 고려했을 때 심각한 수준이다.

 이 밖에 안과 응급수술을 할 수 있는 응급의료센터(평시 75곳)도 일주일새 58곳에서 47곳으로 37.3% 감소했고, 사지 접합 수술도 같은 기간 진료할 수 있는 곳(평시 82곳)도 70곳에서 62곳으로 줄었다.

 정부는 권역·지역센터를 포함해 응급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군의관을 파견했지만, 현장에서는 병원과 파견자 모두 일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이달 4일 이대목동병원 3명, 아주대병원 3명, 세종충남대병원 2명, 충북대병원 2명, 강원대병원 5명 등 의료기관 5곳에 군의관 15명이 파견·배치됐으나 이들 모두 응급실에 근무하지 않고 있다.

 파견 군의관 2명이 모두 응급의학과 전문의인 세종 충남대병원에서는 군의관들이 환자 진료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데 따라 모두 복귀했다.

 충북대병원은 응급의학과 전문의 출신 군의관 2명을 응급실이 아닌 중환자실에 배치했다.

 이처럼 응급실 인력난이 해소되지 않자 복지부는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인상 외에 직접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공의 이탈 이후 운영이 어려운 응급실에 전담 의사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기획재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액수는 미정이지만, 권역외상센터나 소아전문응급센터 의사 인건비 지원액인 1억원 수준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