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헬스케어가 새 먹거리"…사업 키우는 제약·바이오 업계

디지털 기기로 부정맥·뇌전증·혈당 등 관리…"진단·치료 효율화"
"의료 인력 부족 등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 증가할 것"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디지털 헬스케어를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을 개발해 질환 진단 및 치료 과정을 효율화하고, 보험 등 타 업계와 협력해 기기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는 지능정보기술과 보건의료데이터를 활용해 질병 예방, 진단, 치료, 건강관리, 연구개발(R&D), 사후관리 등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활동·수단으로 정의된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업계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 합류하고 있다.

 대웅제약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미래성장동력으로 규정하고 다양한 기기를 출시했다.

 부정맥 검출용 패치형 심전도기 '모비케어'가 대표적이다.

 모비케어는 가슴 부착형 패치로 심전도, 심박, 활동량 등 생체신호를 측정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확인할 수 있게 지원한다.

 기기를 통해 부정맥의 일종인 심방세동 등이 조기 진단되면 적절한 약물을 투입해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고 대웅제약 관계자는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과 치료 약물 간 시너지가 두드러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K바이오팜은 뇌전증 환자의 질환을 관리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제로'(ZERO)를 개발 중이다.

 제로는 모바일 앱, 스마트워치, 의료진 웹 서비스 및 인공지능(AI) 기반 발작 예측 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있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모바일 앱은 발작 이력, 발작 통계, 발작 유발 요인 기록, 복약 내역을 제공한다.

 의료진에게는 웹 서비스를 통해 환자의 발작 이력, 통계, 복약 정보가 실시간 공유된다.

 해외 시장도 공략한다.

 SK바이오팜은 남미 최대 제약사 중 하나인 유로파마와 미국 내 조인트 벤처(JV·합작법인)를 설립, 북미 시장에서 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의 사업화를 개시한다.

 해당 JV 또한 제로를 기반으로 설립된다.

 제로를 활용해 뇌전증 발작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의료진의 데이터 기반 치료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설루션을 개발하는 게 SK바이오팜 측 계획이다.

 카카오헬스케어는 AI 기반 모바일 혈당 관리 설루션 '파스타'를 개발했다.

 파스타는 연속혈당측정기와 연동해 실시간 혈당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이다.

 사용자가 연속혈당측정기를 착용하는 동안 데이터를 분석해 혈당 변동성, 혈당 관리지표 등을 요약해 보여준다.

 타 업계와의 협력도 활발하다.

 카카오헬스케어는 AIA생명 고객이 만성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개인화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니어 케어 전문기업 케어링은 시니어하우징 시설에서 파스타를 활용한다.

 시니어하우징은 만 60∼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주거 및 생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삼정KPMG 경제연구소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의료 인력 부족, 의료 데이터의 양과 복잡성 증가, 의료 비용 절감 및 품질 향상에 대한 환자 측 요구 등으로 인해 헬스케어 산업 내 AI 도입 필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포괄 2차병원 지원 구체화…중환자실 수가 1일 3만∼15만원 가산
정부가 지난달 의료개혁의 일환으로 발표한 포괄 2차 종합병원 육성안의 구체적 평가·지원안을 공개했다. 적정성 평가 결과를 따져 중환자실 입원 수가를 정액으로 더해주고 내원 24시간 이내 응급수술에는 가산 수가를 지급한다. 성과지표에는 지역 내 응급환자 수용 실적 외에도 중증화 보정 사망비 등이 시범지표로 들어갔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16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개혁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달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을 내놓으며 지역 대부분의 의료 수요를 충족하는 포괄적 진료역량을 갖추고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종합병원(포괄 2차 종합병원)을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등증(경증과 중증 사이) 이하 환자가 수도권 대형병원을 찾지 않고 지역 종합병원과 병원 등에서 충분히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정부는 3년간 2조원을 중환자실 수가 인상·응급의료행위와 응급 대기에 대한 보상 강화·성과 지원에 투입하기로 했다. 이날 공개된 안에 따르면 중환자실 수가는 기관별 적정성 평가 결과와 연동돼 입원 1일당 정액으로 가산 지급된다. 적정성 평가 1·2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생활습관병은 의사가 못고친다"…40년간 감기 안걸린 국민의사
인생의 95%는 건강으로 결정된다. 권력과 명예, 부(富)는 부차적 요소다. 인간에게 생명은 제일 중요한 자산인데, 이 생명의 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건강이기 때문이다. 건강을 지키는 것은 쉽지 않다. 타고난 것도 있기에 더욱 그렇다. 인터뷰이들은 소식(小食)하고, 운동하고, 술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담배를 끊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터뷰이들은 이에 대해 별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들 대부분은 흡연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이 건강 비결을 모르지는 않는다. 다만 실천을 못 하기에 문제가 생긴다. 실천력도 타고나는 측면이 강하지만, 후천적 노력으로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생활에서의 보람도 건강에 중요하다고 인터뷰이들은 전한다 적지 않은 사람이 정년퇴직 후에 건강을 잃거나 빨리 노화된다. 이는 보람, 즉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턱대고 부지런하다고 해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전략적 사고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인터뷰이들은 대체로 이런 사고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다. 전략적 사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적성에 맞지 않으면 노력도, 전략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