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문 닫은 소아과 전문의들 어디로?…"35%가 다른 과목 진료"

연세대·심평원 등 연구팀 분석…코로나19 기간 소아과 364곳 줄어

  저출생 등으로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기간 폐업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3명 중 1명 이상은 소아과와 무관한 진료를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일 대한의학회의 국제학술지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따르면 노진원 연세대 보건행정학부 교수와 구준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혁신센터 주임연구원 등은 심평원 자료 등을 토대로 소아과 폐업 현황과 이후 경로 등을 추적했다.

 저출생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소아청소년과는 코로나19 유행 시기 호흡기질환 환자 감소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바 있다.

 연구진이 소아과 폐업에 미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원장 나이가 65세 이상 고령이거나, 개업한 지 5년 미만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폐업 위험이 더 컸다.

 이 기간 소아과를 폐업한 소아과 전문의 364명을 추적했더니 29.7%인 108명은 현재 의료기관  근무 이력이 확인되지 않았다.

 은퇴했거나 잠시 쉬는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폐업 이후에도 다른 소아과 관련 의료기관에 취업해 근무 중인 사람은 127명(34.9%)이었다.

 나머지 129명(35.4%)은 소아과와 관련 없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경우였다.

 구체적으로 이 중 102명이 소아과가 아닌 다른 의원에서, 24명은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고, 한방병원과 정신병원으로도 각각 2명과 1명이 갔다.

 다른 의원에 근무하는 102명 중엔 74명이 진료과가 표시되지 않은 일반의원에서 진료를 하고 있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기간 폐업한 소아과 전문의들의 경로를 추적한 최초의 연구로, 소아과 엑소더스가 가속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아과는 환자 진료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업무 강도도 높다.

 소아과 전문의들이 전공 분야에 오래 남아있게 하기 위해선 근무 환경 개선과 공정한 보상이 필수적"이라며 소아 진료 붕괴와 의료진 이탈을 막기 위해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월스트리트저널 "美, 복제약은 의약품 관세서 제외 계획"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 관세에서 복제(제네릭) 의약품은 제외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WSJ에 보낸 성명에서 "행정부는 복제 의약품을 상대로 한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관세 조사를 담당하는 상무부의 대변인도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서 복제약 관세라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에 위해가 되는 수입을 관세 등을 통해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하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상무부에 의약품에 대한 관세 조사를 지시했으며 상무부는 지난 4월부터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과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으나, 이후 행정부가 제약사 와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관세 부과를 연기했다. 복제약을 관세에서 제외하기로 한 이번 방침은 최종 결정이 아니며 향후 바뀔 수도 있다고 WSJ은 보도했다. 복제약은 미국인이 매일 사용하는 의약품의 약 90%를 차지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