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증자 유족들, 하늘 향한 편지엔 온통 "사랑해" "보고싶어"

장기조직기증원 추모 공간에 유족 편지 1만2천여건
일상에서 언제든 할 수 있지만, 선뜻 쓰지 않는 말들…소소한 일상 나눠
수증자들 "늘 감사하면서 살겠다", "큰 사랑 잊지 않겠다" 다짐

 봄이 무르익는 5월은 사랑하는 가족을 먼저 떠나보낸 이들에게는 유독 시린 계절이다.

 세상은 5월에 '가정의 달'이라는 이름을 붙였지만, 이들은 온전했던 때로 가정을 되돌릴 수 없다.

 4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에 따르면 이달 3일 현재 기증원 홈페이지의 '추모공간'에는 유족들이 먼저 세상을 떠난 가족들에게 쓴 편지 1만2천여건이 쌓여있다.

 기증원은 장기 및 조직의 기증 활성화를 위해 그들의 숭고한 뜻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의 수정을 거쳐 편지 내용을 활용할 수 있게 공개했다.

 가족들이 쓴 편지에는 온통 '사랑한다', '보고 싶다'는 말이 담겼다. 평범한 이들이 언제든 마주 보고 할 수 있는 말이면서도, 선뜻 잘 쓰지 않는 말들이다.

 2013년 1월 31일에 쓰인 첫 번째 편지는 '고맙다, 좋은 일을 하고 떠나서. 그리고 정말 많이 사랑한다'라는 제목의 글이다.

 자신을 '엄마'라고 밝힌 글쓴이는 "어젯밤 조용히 내리는 빗소리에 섞여 네 발소리가 들리는 듯 해서 잠이 깨 한참 우두커니 앉아 있다가 네가 올 수 없음에 허망해하며 날밤을 새우고 하루 종일 무엇에 쫓기듯 허둥대다가 이 글을 쓴다"며 "보고 싶다, 정말 보고 싶다. 고맙다. 좋은 일을 하고 떠나서. 그리고 정말 많이 사랑한다"고 남겼다.

 5월이 되자 잔인한 봄을 한탄하는 이들도 많았다.

 한 엄마는 "따듯한 날씨, 싱그러운 나뭇잎들, 눈 부신 햇살이 엄마 가슴을 또 아프게 한다"며 "푸른 오월에 바라보는 하얀 꽃은 슬프게만 보이는구나"라고 슬퍼했다.

 또 다른 엄마도 "열심히 바삐 살던 직장인들은 긴 연휴 시작이라고 계획들을 세우고 하는구나. 너도 그랬을 텐데, 긴 연휴 동안 바쁘게 다녔을 것을"이라며 "바쁘니. 꿈에서라도 얼굴 좀 보자"라고 적었다.

 한 딸은 아빠를 향해 "난 아빠가 하늘나라로 여행을 떠나시고부터 5월이 싫어졌어"라며 "아빠한테 못 해 드린 게 너무 많아서, 그래서 아빠한테 너무나 죄송해서 5월 너무나 싫어"라고 후회했다.

수증자들의 감사 손편지

유족들이 닿지 못할 편지로나마 간절히 나누고 싶은 것은 특별한 게 아닌 소소한 일상이었다.

한 딸은 아빠에게 여러 차례 편지를 써 "두릅을 따는데 아빠 생각 많이 났어. 아빠도 두릅 잘 찾잖아. 집에 와서는 엄마가 칼국수 해줬지롱"이라는 등 미주알고주알 하루를 전했다.

한 아들은 5월을 앞두고 "과수원에 복숭아꽃, 사과꽃들이 가득 피어나기 시작했어요. 밤에 물 마시러 나가면 덥다고 거실에서 주무시던 엄마 모습이 떠올라서 아무도 없는 집에서 엄마를 불러봐요"라며 "오늘 밤에는 제 꿈에 나와주세요. 그리고 저를 보듬어주세요. 엄마의 아들은 아직도 어린아이일 뿐이네요"라고 썼다.

이들의 가슴 아픈 이별 덕분에 삶을 이어갈 수 있게 된 수증자들은 감사함을 표하며 기증자 몫까지 더 건강하게 살 것을 다짐했다.

올해 심장 이식을 받았다는 수증자 조 모 씨는 "늘 감사하면서 살겠습니다"라며 "어떤 말로도 이 고마움을 표현할 수 없어서 제가 살아가는 동안 열심히 노력하며 살겠습니다"라고 남겼다.

신장을 이식했다는 한 수증자도 "한사람이 아닌 온 가족의 삶을 다시 살게 해주신 그분의 한 없는 사랑과 희생정신이 얼마나 고맙고 감사한지요"라며 "글로써 표현할 수 없는 그 큰 사랑을 평생 잊지 않고 살아가겠습니다"라고 약속했다.

인체조직과 장기를 기증하기를 원하면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홈페이지(www.konos.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등록할 수 있다.

보건소나 의료기관 등 장기 이식 등록기관을 직접 방문해 신청서를 써도 되고, 따로 작성한 신청서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에 우편으로 보내도 된다.

한 번 등록했다고 해도 법적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취소할 수도 있다.

생전에 기증 의사를 문서로 작성했더라도 배우자나 직계 존·비속 등 선순위 유가족 1인의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전에 기증의 뜻을 알리는 것이 좋다.

[장기조직기증희망등록증]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독성硏, '영원한 화학물질' PFOA가 뇌 염증 일으키는 기제 밝혀
국가독성과학연구소 가민한 박사 연구팀은 유해 물질인 '과불화옥탄산'(PFOA)이 뇌 신경 염증을 일으키는 기제를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과불화옥탄산은 주방용품, 섬유, 식품 포장재, 소화기 거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과불화화합물(PFAS) 계열 물질로,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잔류해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린다. 과불화옥탄산이 신경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왔으나, 구체적인 작용 원리는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PFOA를 뇌 속 별세포(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에 노출하면 소포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소포체는 단백질의 합성과 수송이 이뤄지는 세포 소기관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잘못 접힌 단백질이 쌓여 세포에 부담을 주게 된다. 이와 함께 자가포식(세포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하는 과정) 작용이 발생하며 별세포의 과활성화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포식은 손상·노후 세포를 분해·재활용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될 경우 오히려 염증 반응을 악화시킬 수 있다. 과불화옥탄산에서 소포체 스트레스, 자가포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별세포의 과활성 상태를 억제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메디칼산업

더보기
"해외 시장 직접 공략"…직판 체제 강화하는 제약·바이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판매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현지 파트너사를 거치는 것보다 초기 비용은 더 많이 들 수 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직판이 수익 증대에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지난달 스페인에서 직판 체제를 구축했다. 기존 스페인 유통 파트너사 '컨파마'와 협의를 거쳐 현지법인 주도의 직판 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해 말에는 스위스 제약 유통사 '아이콘'을 인수하며 현지 직판에 착수했다. 셀트리온은 2020년 '램시마'를 시작으로 유럽에서 전 제품에 대한 판매 방식을 직판으로 전환했다. 2023년에는 미국 시장 판매 구조도 직판 형태로 바꿨다. 이 회사는 최근 분기 보고서에서 직판에 대해 "각 국가 내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다년간 쌓은 시장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하태훈 셀트리온 유럽본부장도 최근 셀트리온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럽 법인의 성장 배경으로 '직판을 통한 소통'을 지목했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는 미국 직판 플랫폼을 기반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엑스코프리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