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국 노인 기대수명 83.5세…늙고 병들 때 돌봐줄 사람은?

 한국에서 태어난 사람의 예상되는 수명(기대수명)은 83.5년(2023년 기준)이다. 남성이 80.6년, 여성이 86.4년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2.5년 더 오래 산다. 우리나라는 기대수명이 꾸준히 증가해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장수국가가 됐다. 다만 장수가 말 그대로 축복이 되려면 노년에 마주할 간병 문제를 잘 해결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장수가 재앙이 되기 십상이다. 

 잊을만하면 나오는 게 '간병살인' 뉴스다. 가깝게는 지난 3월 경기 고양에서 투병 중인 80대 여성을 살해한 남편과 아들이 한강에 투신하는 일이 있었다. 10년 전부터 지병을 앓던 여성을 80대 남편과 50대 아들이 아무 외부 도움없이 직접 돌봐오다 끝내 범행을 저질렀다. 간병살인에 대한 정부의 공식 통계는 없다. 다만 민간연구소 자료 등에 따르면 2천년대는 간병살인이 한해 평균 5.6건 정도였는데 2020년대 들어서 평균 18.8건으로 급증했다고 한다. 고령인구 증가의 영향이 크다고 봐야 한다.

 이밖에 돌봄서비스 제공 책임 주체는 국가(85%)라는 응답이 대다수였다. 이를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는 데는 85%가 찬성했다. 돌봄을 받고 싶은 장소로는 집과 지역사회 등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을 원하는 사람이 79%였다. 노인복지시설 입소를 원하는 사람은 7%에 그쳤다. 노인 돌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는 '자부담 경감'을 꼽았다. 무엇보다 개인이 감당하기 힘든 경제적 부담을 국가와 사회가 나눠지길 바라는 것이다. 보건복지부의 2023년 조사에 따르면 치매 환자의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이 지역사회에 머무는 경우 1천733만9천원, 시설·병원에 있는 경우 3천138만2천원이나 됐다.

 개인의 간병비 부담을 덜기 위한 방안으로는 건강보험 적용 문제가 늘 거론된다. 이번 대선에서도 간병비 건보 적용이 공약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항상 재원이 걸림돌이다. 연간 10조∼15조원의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건보 재정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규모다. 그렇다고 미루기만 할 일은 아니다. '간병 부담을 개인이 아닌 사회가 함께 진다'는 원칙하에 사회 구성원들이 고민하고 하루빨리 방책을 찾아야 한다. 지금도 간병이라는 끝없는 굴레 속에서 누군가는 죽음을 생각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국가와 사회의 손길이 급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