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30% 반려동물 기르지만…하루 6시간 동물 홀로 집에

월평균 양육비, 반려견 16만원·반려묘 14만원…2년내 치료비 103만원
반려동물보험 가입 13%뿐…49%만 "타인에게도 양육 추천"

 한국인 10명 가운데 3명이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지만, 반려동물들은 날마다 평균 6시간 정도 혼자 집에 남겨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려동물 양육비는 한 달 평균 19만원이 넘었고, 최근 2년간 평균 치료비는 100만원을 웃돌았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30일 공개한 '2025 한국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 현재 반려동물을 둔 가구는 591만 가구로 2023년 말(585만 가구)보다 1.1%(6만 가구) 늘었다.

 반려동물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사이 26.6%에서 26.7%로 0.1%포인트(p) 소폭 늘었다. 이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KB금융[105560] 자체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추산된 결과다.

 455만 가구가 개, 137만 가구가 고양이를 기르고 있었다. 전년보다 각 4만 가구, 2만 가구 증가했다.

반려가구 수 추이 등

 반려동물 가구의 80.1%는 하루 중 잠시라도 동물을 집에 혼자 두고 외출한다고 답했다. 반려동물이 홀로 남겨진 시간은 하루 평균 5시간 54분에 이르렀다.

 이들 가구가 반려동물을 위해 고정적으로 지출하는 양육비는 월평균 19만4천원 정도로, 2023년 조사 당시(15만4천원)와 비교해 4만원(26%)이나 늘었다.

 동물 종류별로는 반려견을 둔 가구가 월 16만1천원, 반려묘를 둔 가구는 월 14만2천원을 썼다.

 반려동물 양육비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사료비(35.1%)였고, 이어 간식비·건강보조식품비(22.5%)·배변패드 등 일용품(10.6%)·미용비(8.7%) 순이었다.

 전체 반려동물 보유 가구의 70.2%는 최근 2년 내 반려동물 치료비를 지출한 경험도 있었는데, 평균 치료비는 102만7천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57만7천원)의 약 2배로 뛰었다.

반려동물 홀로 집에 있는 시간 등

 반려동물보험 가입률은 12.8%에 그쳤고, '진료비 표준수가제 도입'(46.1%)이 반려동물보험 대중화를 위해 해결돼야 할 첫 번째 과제로 지목됐다.

 반려동물 양육에 따른 애로사항(복수 응답)으로는 여행 시 곤란(39.1%), 비용(34.1%), 배설물·털 관리(33.9%) 등이 꼽혔다.

 반려동물 보유 가구의 76%는 동물을 기르는 데 만족했고, 74.2%는 계속 반려동물을 기르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타인에게 반려동물 양육을 추천하겠다"는 의견은 전체의 49.4%로 반을 넘지 못했다.

 많이 기르는 반려견 품종 1·2위는 몰티즈(20.4%)·푸들(18.9%)이었고, 선호 반려묘는 코리안숏헤어(44.7%)·러시안블루(12.8%)·페르시안(9.6%) 순으로 조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년 6개월만에 돌아온 의대생, 첫 수업은 '설렘반, 걱정반'
"어젯밤 병원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떨려서 잠이 잘 오지 않았습니다." 지난 11일 오전 부산대병원 내 글로컬임상실증센터. 최근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휴학했던 의대생이 속속 학업에 복귀하는 가운데 이날 부산대 의대 본과 3학년 학생들의 복귀 이후 첫 임상 실습 수업이 열렸다. 하얀 의사 가운을 입고 목에 청진기를 맨 학생 3명은 다소 어색한 표정으로 담당 교수와 함께 수업에 들어갔다. 부산대 의대 본과생들은 3∼4명씩 조를 나눠 지도교수의 감독 아래 외래, 병동, 수술실 등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수술실을 재현한 실습실에서 본과 3학년 송모(26)씨가 기도 삽관에 도전했다. 송씨가 환자 모형의 기도를 확보한 뒤 동기에게서 튜브를 건네받아 기관 안에 삽입했다. 이어 그럴듯한 모습이 완성되자 학생들이 기관 내 삽입한 튜브에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연결해 여러 차례 눌렀다. 시술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부풀어야 할 폐 모형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를 본 부산대 의대 부학장인 이정규 가정의학과 교수가 "이 경우 기도삽관이 잘못된 것이죠"라고 설명했다. 학생이 머쓱한 표정을 짓자 이 교수는 "처음에는 누구나 어렵다"며 "다만 응급 환자에게는 바로 적용해야 하는 시술이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