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은 항균 성분인 무피로신(Mupirocin)에 피부 진정 성분인 티트리오일을 더한 외용 항생제 '에스로반 연고'를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에스로반 연고는 튜브형 연고 제형으로 상처를 비롯해 모낭염, 습진 등 다양한 피부 질환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JW중외제약은 신제품 출시를 계기로 피부 트러블 케어 영역까지 제품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고 전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조달청과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백신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공시했다. 계약 금액은 227억2천800만원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 작년 매출의 8.5%에 해당한다. 해당 백신의 수요기관은 질병관리청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질병관리청은 계약 수량의 10% 범위에서 수량 증감에 따라 계약을 변경할 수 있다"고 전했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ng@gmail.com)
GC녹십자는 말레이시아 자켈(JAKEL) 그룹 산하 제약·의료기기 유통 계열사 SISB(Solid Intellectual SDN BHD)와 혈장 분획 제제 공급을 위한 임가공 계약을 맺었다고 2일 밝혔다. GC녹십자는 지난 3월 SISB와 함께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의 혈장 임가공 사업 입찰에 참여해 아시아 기업 최초로 전량 위탁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계약에 따라 SISB는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이 자국 혈액원(National Blood Center)을 통해 확보한 혈장을 공급받아 GC녹십자로 유통한다. GC녹십자는 해당 혈장을 원료로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등 혈액제제 완제품을 생산한 뒤 이를 다시 SISB에 수출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내년부터 최소 4년간 2천400만 달러 이상의 혈액제제를 말레이시아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우진 GC녹십자 글로벌사업본부장은 "앞으로도 국가 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혈장분획제제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셀트리온제약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악템라'(성분명 토실리주맙)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앱토즈마'의 국내 판매를 개시한다고 2일 밝혔다. 앱토즈마는 체내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인터루킨(IL)-6 단백질을 억제해 염증을 감소시키는 인터루킨 억제제다. 류마티스 관절염(RA), 전신형 소아 특발성 관절염(sJIA), 다관절형 소아 특발성 관절염(pJIA) 등에 대한 적응증을 갖고 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된 앱토즈마 피하주사는 기존 제품 대비 개선된 주사기 설계를 적용해 투여 편의성과 안전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GC녹십자는 한국화이자제약과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성분명 니르마트렐비르, 리토나비르) 국내 공동판매 및 유통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는 이달부터 팍스로비드의 국내 유통을 담당하게 된다. 양사는 팍스로비드의 마케팅부터 영업까지 다양한 활동을 함께하며 환자 접근성 확대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팍스로비드는 입원이나 사망을 포함한 중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성인에서 경증 및 중등증 코로나19 환자 대상 경구치료제다. 증상 발생 5일 이내 치료를 시작한 환자 중 단일클론 항체 치료를 받지 않았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환자에게서 위약 투여군 대비 입원 및 모든 원인의 사망 상대위험도를 86% 감소시켰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이사는 "GC녹십자는 감염병의 예방과 치료에 강점이 있는 기업"이라며 "양사 간 긴밀한 협력으로 공중보건 안전망 강화에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동욱 한국화이자제약 대표이사는 "환자들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두는 회사로서의 사명을 갖고 코로나19로부터 환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
대웅제약은 지난 11일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2025 유럽비만학회(ECO)'에서 SGLT-2 억제제 계열 2형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의 간 내 지방증 지표 개선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는 554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3건의 엔블로 3상 임상시험 데이터를 활용해 엔블로의 간 지방증 지표 개선 효과를 통합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엔블로 0.3㎎을 24주간 매일 복용한 환자들은 간 지방증 지수(HSI) 및 프레이밍햄 지방증 지수(FSI)로 평가한 지방간 유병률이 기저 대비 각각 32%·25% 감소했다. 엔블로 투약군은 위약대조 연구에서 간 지방증 지수를 기준으로 본 지방간 유병률이 48.0%에서 16.0%로, 프레이밍햄 지방증 지수로 평가한 지방간 유병률은 41.3%에서 16.0%로 각각 감소했다. 동일 계열인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과의 비교에서도 엔블로는 간 지방증 지수 평균값이 1.02(p=0.0257)점 낮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엔블로가 간 지방 축적 감소와 같은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할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2형 당뇨병 치료뿐 아니라 흔히
유한양행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가 최근 일본에서 정식 출시되면서 첫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지급이 이뤄지게 됐다. 유한양행은 30일 얀센 바이오테크(이하 얀센)에 기술 수출한 비소세포폐암 EGFR 변이 표적 항암 치료제 '레이저티닙'의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1천500만 달러(약 207억 원)를 수령한다고 공시했다. 마일스톤은 일본 내 첫 환자 투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는 등 최근 레이저티닙 병용요법의 현지 상업화가 개시된 데 따른 것으로, 유한양행은 계약에 따라 60일 이내에 마일스톤을 수령할 예정이다. 이후에는 판매액에 따른 로열티를 지속적으로 받는다. 일본에서 비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약 85%를 차지하며 가장 흔한 폐암 유형이다. 이로써 유한양행이 레이저티닙의 해외 기술 수출을 통해 확보한 계약금 및 마일스톤은 2018년 11월 계약금 5천만 달러와 작년 9월 미국 상업화 개시 마일스톤 6천만 달러를 포함해 총 2억2천500만 달러에 이르게 됐다. 잔여 마일스톤은 7억2천500만 달러이며, 순 매출액에 따라 발생하는 경상기술료(로열티)는 별도 로 받는다. 레이저티닙 병용요법은 미국, 일본 외에도 유럽, 영국, 캐나다 등에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대한골대사학회 국제 학술대회(SSBH 2025)에 참가해 골질환 치료제 '오보덴스'를 알린다. 오보덴스의 오리지널 의약품 '프롤리아'는 미국 암젠이 개발한 골다공증 및 전립선암·유방암 환자의 골 소실 치료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번 행사에서 오보덴스의 안전성 및 효능을 홍보한다. 아울러 오보덴스 공동 판매 협약을 체결한 한미약품과 함께 현장 부스 활동 등으로 국내 골질환 분야 의료계 및 업계 관계자와도 소통할 예정이다.
팜젠사이언스는 최근 위염치료제 '미피드서방정150밀리그램'(성분명 레바미피드)이 제네릭(복제약) 품목 허가와 우선판매품목허가권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 미피드서방정 주성분인 레바미피드는 위점막 병변 개선에 사용되는 치료제다. 팜젠사이언스는 하루 3회 복용(100㎎)에서 하루 2회 복용(150㎎)으로 복약 순응도를 높인 약품을 오는 7월 출시할 계획이다. 팜젠사이언스는 3개 제약사와 공동 개발해 수탁 제조에 의한 추가 수익 창출도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