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침투한 세균, 감염과정에서 독소 분비해 면역세포 우회공격

호주 모내시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미생물학'에 논문

 우리 몸에 침투한 병원성 박테리아(세균)는 독소(endotoxins)를 분비해 면역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졌다.

 과학자들은 박테리아의 독소가 염증 반응을 일으켜 면역세포의 예정사(programmed cell death)를 유도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런데 세균 독소가 직접 면역세포를 공격해 자멸사로 내모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호주 모내시대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박테리아는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표적으로 별도의 독소를 분비했고, 이런 독소 공격으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면역세포가 이를 감지해 자멸사의 길로 갔다.

 병원성 세균은 감염이 진행되는 동안 미토콘드리아를 공격하는 균체 내 독소를 외막 소포(outer membrane vesicles)에 실어 내보냈다.

 그러면 이 독소는 면역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이상을 일으켜 면역세포의 자멸사 유도 물질을 활성화했다.

 세균 독소가 곧바로 면역세포를 죽이진 않지만, 우회적으로 면역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셈이다.

 이 발견은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박테리아의 교묘한 면역 반응 회피 전략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우선 세균의 미토콘드리아 공격을 차단하는 약물 개발이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거로 보인다.

 아울러 지속적인 면역 반응과 염증, 그리고 이에 따른 세균 감염성 조직 손상을 예방하는 실마리가 될 수도 있다.

 이번에 실험한 세균 중에는 병원 내 감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다제내성(multi-drug resistant) 녹농균도 포함돼 있다.

 연구팀은 이번에 녹농균과 요로 병원성 대장균, 임균 등 3개 종만 실험했다. 하지만 다른 세균에 실험해도 똑같은 결과가 나올 거로 과학자들은 예상한다.

 네이더러 박사는 "그동안 균체 내 독소의 면역세포 파괴를 차단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라면서 "그런데 이제 더 중요할지도 모른 다른 독소로 초점이 옮겨졌다"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임상용 치료제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미 개발된 항암제 등을 세균 감염 치료제로 용도 변경할 수 있는지 타진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환자단체 찾아 "의정갈등으로 불편 겪은 국민께 사과"
전공의들이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갈등 당시 일부 의료계 인사가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고 하거나, 메디스태프와 같은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에서 "환자 죽어도 감흥 없다" "죽을 뻔한 경험 쌓여야 의사 존경한다"는 등 선 넘는 발언이 나온 상황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