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에 에너지 공급 끊는다면? ATP 생성 유전자 DB 완성

정상 산소 포화도에서 ATP 생성 억제하는 분자 경로도 발견
암ㆍ알츠하이머병 등 치료 적용 기대…'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논문

 미토콘드리아가 생성하는 ATP(Adenosine triphosphate)는 인체 세포의 에너지 단위다.

 특정한 유형의 세포에서 ATP 수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암, 당뇨병, 심장질환, 알츠하이머병 등의 발생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세포가 ATP 수위를 어떻게 조절하고, 질병이 생겼을 때 세포의 에너지 수위가 어떻게 유지되는지는 지금까지 잘 알지 못했다.

 이런 세포 에너지 대사에 대한 이해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TPome'으로 명명된 이 유전자 DB는 장차 세포의 에너지 수위를 조작해 질병을 치료하는 표적 유전자나 단백질을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수행한 켄 나카무라 박사팀은 28일(현지시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관련 논문을 공개했다.

 글래드스턴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부설 비영리 의학 연구기관이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편집 기술로 유전자를 하나하나 선별해 발현시키면서 연관된 개별 세포의 ATP 잔존량을 화학 센서로 측정했다.

 이 과정에서 ATP 생성을 늘리거나 소비를 줄이는 방법으로 세포의 에너지 확충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분자 경로가 속속 드러났다.

 ATP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어떤 유전자가 나설지는, 세포 내 대사물질이 어디서 유래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도 확인됐다.

 HIF1 분자 경로의 새로운 작용을 알아낸 것도 중요한 성과다. 지금까지 HIF1은 저산소 조건에서 세포의 APT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산소 포화도가 정상일 때도 HIF1 경로는 ATP 생성을 강하게 억제한다는 게 새로이 밝혀졌다. 이 분자 경로에 제동을 걸면 ATP 생성량이 는다는 얘기다.

 이 발견은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을 거로 보인다.

 암세포에 에너지 공급을 제한하거나 신경 퇴행 질환이 생긴 뇌 신경세포에 에너지 공급을 늘리는 식의 치료적 접근이 가능한 것이다.

 UCSF의 신경학 부교수로 재직 중인 나카무라 박사는 "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조작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려면, 이번에 완성한 청사진을 바탕으로 다른 유형의 세포와 질병에 대한 연구를 확대 해 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