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병상·현장인력 부족…경기도 "의료인 지원 요청"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경기도는 17일 코로나19 확진자 속출로 병상과 현장 의료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 의료인들의 지원을 요청했다.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응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경기도가 보유한 자원과 인력을 최대한 활용해 병상을 확보하고 민간병원과 협력해 하루라도 빨리 의료진이 치료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는 것이 최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도내 확진자 중 병상을 배정받지 못한 환자는 생활치료센터 대기 155명, 병원 대기 299명 등 454명이며 이 중 상당수가 의료기관 병상으로 배치되어야 할 중등증 환자라고 밝혔다.

 전날 신규 확진자 291명 중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자는 88명으로 30.2%다.

 특히 고령자와 기저질환자가 많은 요양병원 등에서 확진자가 잇따르고 병상 배정이 늦어지면서 시설 내에 머무르는 환자들에게 식사, 투약 등 기본적인 처치조차 못 하는 시설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 단장은 "실질적으로 확진자들에게 시급한 것은 병상과 의료진을 통한 치료"라며 "함께 일할 의료인은 경기도(콜센터 031-120)로 연락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 16일 오후 10시 기준 경기도 홈케어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받은 인원은 28개 시군에 414명이며 이중 22명은 의료기관으로 이송됐고 66명은 생활치료센터로 옮겨졌다.

 지난 14일부터 도내에 설치된 임시 선별검사소 59곳에서 진행된 검사 건수는 이날 0시 기준 6천969건이며 이 중 1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도내 코로나19 치료병원 병상(17일 0시 기준)은 총 768개 중 650개가 채워져 가동률은 84.6%다. 이 중 중증환자 병상은 49개인데 가용 병상은 4개만 남아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