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질환의 뿌리 '만성 염증', 지방 혈관세포가 조절한다

지방조직 혈관벽의 FIPs 간세포, 염증 신호 생성 확인
염증 완화하는 FIPs 신호 물질도 발견…'네이처 신진대사'에 논문

 우리 몸에서 쓰고 남은 열량(calorie)은 백색지방 조직(WDT)에 중성지방(triglycerides) 형태로 쌓인다.

 이런 중성지방은 콜레스테롤과 함께 동맥경화 등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 물질로 꼽힌다.

 비만한 사람은 대개 중성지방이 너무 많다. 그래서 지방세포가 죽기 시작하고 면역세포가 활성화해 염증으로 이어진다.

 지방세포 주변에 생기는 이런 저강도 만성 염증은 여러 가지 비만 관련 질환의 요인 중 하나다.

 지방 조직에 만성 염증을 촉발하는 특정 세포 유형과 작용 기제를,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UTSW)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관련 논문은 저널 '네이처 신진대사'(Nature Metabolism)에 최근 실렸다.

 4일 미국 과학진흥협회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이 발견은 비만 관련 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어 주목된다.

 연구를 주도한 라나 굽타 내과학 부교수는 "비만한 사람의 지방 세포 염증은, 과체중과의 연관성이 의심되는 암, 당뇨병, 심장질환, 감염증 등의 중복 이환(罹患)과 관련돼 있다"라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지방조직 염증의 초기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일부 이해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관련 연구의 초점은, WAT의 지방세포와 면역세포가 생성하는 신호 물질 중에서 염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것들에 맞춰졌다.

 하지만 쿱타 교수 연구팀은 WAT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을 집중해서 들여다봤다.

 연구팀은 2018년 생쥐 실험에서 이런 혈관의 내벽을 싸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세포를 발견했다.

 지방 간세포(APCs)에 속하는 섬유 염증성 간세포(FIPs)였는데 다른 대부분의 APCs와 달리 염증 신호를 생성했다. APCs는 나중에 지방세포로 자라는 일종의 전구세포다.

생쥐 실험에서 28일간 고지방 먹이를 줬더니, 전체 APCs 가운데 FIPs의 비중이 확연히 커졌다.

 FIPs가 지방 조직의 초기 염증을 조절하는 '게이트키퍼' 역할을 한다는 건 이번에 처음 확인됐다.

 고지방 먹이를 준 실험군에서, FIPs의 염증 신호 유전자(Tlr4)를 제거한 생쥐는 다른 생쥐와 비슷하게 체중이 늘면서도 염증 수치는 더 올라가지 않았다.

 이런 생쥐는 오히려 백색지방 조직의 염증성 분자 수치가 저지방 먹이를 준 생쥐와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연구팀은 나아가 FIPs의 관련 신호 물질(ZFP423) 수위를 높이면 지방세포의 염증이 완화된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 신호 물질의 발견은 비만 관련 질병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실마리가 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굽타 교수는 "ZFP423가 염증 초기에 FIPs의 신호를 억제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다"라면서 "물론 인간도 똑같은 메커니즘이 작동할지는 앞으로 확인해야 할 과제"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00조 돌파 건강보험 진료비…급증 주범은 '고령화'아닌 '공급'
2022년 사상 처음으로 100조 원을 돌파한 건강보험 진료비. 가파른 고령화와 맞물려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진료비 급증의 핵심 원인이 단순히 인구 고령화나 소득 증가뿐만 아니라, 의료기관과 병상수 같은 '공급 요인'에 있다는 심층 분석 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의 '건강보험 진료비 영역별 지출 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총진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가입자 수, 고령화율과 더불어 '요양기관 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의 수요 증가와 함께 의료 서비스의 공급 자체가 비용 증가를 견인하는 강력한 동력임을 시사한다. 특히 이번 연구는 진료 형태를 입원과 외래로 나누어 지출 증가의 구조를 세밀하게 들여다봤다. 분석 결과, 입원 진료비의 경우 인구 천 명당 병상수가 1% 증가할 때 진료비가 약 0.21%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병상 공급이 비용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병상은 일단 만들어지면 이내 채워지게 된다"는 의료 경제학의 법칙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반면, 외래 진료비는 공급 요인의 영향력이 더욱 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타고난 무릎 모양으로 부상에 더 취약한 청소년 선별 가능"
청소년들이 운동하다가 무릎이 다쳤을 때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될지, 경골극(脛骨棘)이 골절될지는 타고난 무릎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신창호 교수와 미국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및 경골극 연구팀은 2009년 3월∼2023년 4월 내원한 18세 미만 환자 159명을 연구해 이런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각 53명씩 전방십자인대 파열군, 경골극 골절군, 정상군으로 나누고, 3차원 영상을 바탕으로 14개 해부학적 지표를 분석했다. 그 결과, 무릎이 손상된 두 비교군은 정상군보다 경골(정강뼈)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유의미하게 가팔랐다. 또 이 부위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경골극 골절 위험이 각각 1.42배, 1.33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나 경골극 골절 모두 도약 후 착지할 때, 혹은 급정지하거나 급히 방향을 전 환할 때 발생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말 그대로 인대가 '뚝' 하는 소리를 내며 찢어지는 부상이다. 경골극 골절은 전방십자인대가 인대에 붙은 무릎뼈(경골극)를 잡아당겨 떨어져 나가는 부상이다. 경골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심할수록 무릎에 무게가 실릴 때 대퇴골(허벅지뼈)이 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