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코로나19 접종센터 42곳 이상 설치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경기도는 코로나19 백신접종을 위해 42개 이상의 접종센터를 설치키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의사회, 간호사회, 병원회, 감염내과 전문가 등 9명으로 민관협력 경기도 지역협의체를 구성키로 했다.

 접종센터는 행정구 기준으로 1곳이상 지정이 가능함에 따라 경기도는 42개 이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접종센터는 체육관이나 시민회관 등 많은 사람들을 소화할 수 있는 대규모 공공시설을 우선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예방백신을 보관할 초저온 냉동고를 센터별로 준비하고 있다.

 접종위탁의료기관은 기존 독감예방접종을 위해 지정한 병원을 중심으로 후보지를 선정 중이다.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긴급대응단장은 “정부의 첫 백신 도입 일정이 2월 말에서 2월 초로 앞당겨지면서 백신접종을 위한 접종센터와 위탁의료기관 지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이런말저런글] 심부전, 심장기능상실, 심장기능결함
심부전(心不全)이 뭐냐는 질문을 며칠 전에 받았습니다. 짚이는 게 있었지만 자신이 없어서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나중에 한자를 확인하고서야 감이 분명해졌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심장기능상실의 전(前) 의학용어라며 뜻을 전합니다. '심장의 수축 운동이 비정상적이어서 신체의 각 부위로 피를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병적인 상태. 호흡 곤란, 부기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라고요. 두 낱말이 같은 의미의 신, 구 용어라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어려운데다 정확하지도 않은 것 같아서입니다. 하지만 국어사전에서와 달리 의학용어위원회의 의학용어사전에서는 심장기능상실이 검색되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요? 심장이 기능을 잃으면 목숨도 잃는 것 아니냐고 사람들은 생각할 가능성이 제법 큽니다. 심장기능결함, 심장기능미흡, 심장기능부실, 심장기능불완전, 심장기능비정상, 심장기능부족, 심장기능모자람, 심장기능약함 같은 말뜻과 말맛이어야 하기에 상실은 지나쳤다고 판단합니다. 영어 단어(cardiac failure/heart failure)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긴 일이라고 나름대로 진단해보기도 했고요. 전문용어가 어려운 것은 불가피합니다. 어느 정도는요. 하지만 어느 정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