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27일)

[오늘의 증시일정](27일)
    ◇ 주주총회
    ▲ OQP[078590]
    ▲ 매직마이크로[127160]
    ▲ 코드네이처[078940]
    ▲ 이화전기[024810]
    ▲ 이트론[096040]

    ◇ 추가 및 변경상장
    ▲ 민앤지[214180](주식전환 89만4천709주 1만3천971원)
    ▲ 크로넥스[215570](주식전환 18만7천500주 2천667원)
    ▲ NH투자증권[005940](유상증자 1천562만5천주 1만2천800원)
    ▲ 에스엠[041510](스톡옵션 1만5천600주 4만2천640원, 스톡옵션 200주 2만3천251원)
    ▲ 조이시티[067000](스톡옵션 1만228주 5천170원)
    ▲ 크래프톤[259960](스톡옵션 5천주 1천452원, 스톡옵션 100주 4만4천원)
    ▲ 서남[294630](스톡옵션 75만8천주 1천250원)
    ▲ 신원[009270](CB전환 491만2천280주 1천425원)
    ▲ 넥스트BT[065170](CB전환 73만994주 1천368원)
    ▲ 바이오플러스[099430](CB전환 20만2천782주 1만6천27원)
    ▲ 엔케이맥스[182400](CB전환 27만3천264주 1만2천808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26일) 주요공시]
    ▲ 이오플로우[294090], 66억원 규모 3자배정 유상증자
    ▲ SGC이테크건설[016250], 3분기 영업이익 136억원…작년 대비 3배↑
    ▲ 파이오링크[170790] "이글루시큐리티 지분 7%로 늘려"
    ▲ 하이브[352820] "CB 발행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 검토중"
    ▲ 메모리 반도체 호황에 역대급 실적…내년에는 '불투명'
    ▲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3Q 영업이익 1천674억원…작년 대비 196%↑
    ▲ 대한유화[006650] 3분기 영업이익 321억원…작년 동기 대비 49%↓
    ▲ 반도체 수급난에도 실적 방어 성공한 현대차[005380]…판매목표는 조정
    ▲ 기업은행[024110] 3분기 영업이익 8천159억원…68.5% 증가
    ▲ 현대자동차 3분기 영업이익 1조6천67억원…흑자 전환
    ▲ 신한카드 3분기 영업이익 2천275억원…0.9% 늘어
    ▲ 신한은행 3분기 영업이익 1조195억원…작년比 24%↑
    ▲ 신한지주[055550] 3분기 영업이익 1조6천39억원…작년比 9%↑
    ▲ LG생활건강[051900] 3분기 영업이익 3천423억원…작년 동기 대비 4.5%↑
    ▲ 삼성엔지니어링[028050], 넥센타이어 체코공장 건설 공사 수주
    ▲ 비에이치[090460], 3분기 영업이익 44% 늘어
    ▲ 이녹스첨단소재[272290] 3분기 영업이익 58% 증가
    ▲ 삼성카드[029780] 3분기 영업이익 1천934억원…작년比 11.5%↑
    ▲ SK하이닉스[000660] 3분기 영업이익 4조1천718억원…작년 대비 220.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