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음성유방암, 치명적 약점 찾아...강력효과 후보 물질 개발

암세포 감싼 '세포질 그물', 유망한 공격 표적 '부상'
암세포 소멸 유도하는 'ERX-41' 화합물도 발견
미국 텍사스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캔서'에 논문

 삼중 음성 유방암(TNBC)은 유방암 중에서 가장 위험한 유형으로 꼽힌다.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2형 표피성장인자 수용체(HER2) 등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유형을 구분한다.

 TNBC는 이들 세 가지 수용체가 모두 없는 유방암을 지칭한다.

 전체 유방암의 12∼20%를 차지하는 TNBC는 특히 40대 이하 연령에서 발병률이 높다.

 암의 진행 속도가 빠르고 전이ㆍ재발 위험도 높지만, 흔히 쓰는 호르몬 치료나 표적 치료로는 효과를 보기 어렵다.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는 관련 수용체가 모두 음성이기 때문이다.

 현재 마땅한 치료 수단이 없는 TNBC 제거에 강력한 효과가 기대되는 '후보 약물'을 미국 텍사스대 과학자들이 개발했다.

 ERX-41로 명명된 이 화합물은 ER 양성 유방암은 물론 TNBC 세포도 쉽게 제거하는 효능을 보였다.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약칭 'UT 사우스웨스턴')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2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캔서'(Nature Cancer)에 논문으로 실렸다.

 당연히 이 발견은 엄격한 과학적 탐구의 결과다. 하지만 어느 정도 행운도 따랐다.

 논문의 교신저자를 맡은 UT 사우스웨스턴의 가네시 라지 비뇨기학 약학 교수는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자 표적을 발견했고 이런 약점에 곧바로 작용하는 치료제도 찾아냈다"라면서 "과거엔 손대지 못했던 암도 치료하는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라지 교수팀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작용하는 ERX-11이라는 화합물을 처음 찾아낸 건 2017년이다.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다수의 유방암 발생에 깊숙이 개입하는 단백질이어서 당연히 연구자들의 기대를 모았다.

 ERX-11보다 효능이 더 강한 약물을 찾기 위해 관련 화합물을 반복 시험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게 ERX-41이다.

 놀랍게도 ERX-41은 ER 양성 암세포뿐 아니라 TNBC 세포도 어렵지 않게 소멸시켰다.

 쥐 모델에 ERX-41을 투여하면 인간 암세포와 몇몇 유형의 관련 암세포 주(cancer cell line)에서 성장한 종양이 작아졌다.

  놀라운 사실은 정상 세포를 공격하는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포도주(細胞株)란 체외 대량 배양이 가능한 세포를 말한다. 바이오 의약계에선 세포주 개발이 신제품 개발의 플랫폼 기술로 통한다.

 현미경으로 보니 ERX-41을 투여한 암세포엔 '세포질 그물'(endoplasmic reticulum) 구조가 아주 넓게 퍼져 있었다.

 ERX-41은 'A형 리소좀 산 리파아제'(LIPA)라는 지방 분해 효소의 활성화를 억제했다.

 LIPA는 리보솜의 유전자 코드 번역으로 만들어진 폴리펩타이드가 단백질을 형성할 때 올바른 구조를 갖추게 돕는 일종의 '샤페론'(chaperone)이다.

 ERX-41의 LIPA 억제는 세포질 그물 내의 스트레스 수위를 높여 암세포의 소멸로 이어졌다.

 ERX-41의 효능 범위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치료가 어렵기는 마찬가지인 신경교아종(glioblastoma), 췌장암, 난소암 등에도 강력한 항암 효과를 보였다.

 단, 그러려면 암세포에 퍼진 '세포질 그물'의 스트레스가 높아진 상태라는 조건을 갖춰야 했다.

 원래 단백질의 기능적 접힘을 돕는 것으로 알려진 '세포질 그물'이 삼중 음성 유방암 외의 다른 고약한 암에도 유력한 공격 포인트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