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좋다는 콜라겐, 암 전이 부추기는 유형도 있다

12형 콜라겐 수위 상승, 유방암 전이와 연관성 확인
호주 가반 연구소,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논문

  어떤 암 종양을 둘러싼 생태계를 종양 미세환경이라고 한다.

 암 종양과 주변 미세환경은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고, 이것은 당연히 종양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종양 미세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이다.

 콜라겐은 체내 단백질의 약 30%를 차지하지만, 종양 미세환경에서도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콜라겐이 종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려진 게 거의 없다.

 인체 내 콜라겐이 암의 발달과 전이에 직접 관여한다는 게 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번에 확인된 건 흔하지 않은 부류에 속하는 12형 콜라겐이다.

 종양 미세환경에서 이 콜라겐 수위가 올라가면 유방암의 전이를 촉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유형의 콜라겐은 또 종양의 세포외 기질이 형성될 때 핵심 역할을 했다.

 호주의 가반 의학 연구소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6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논문으로 실렸다.

 지금까지 인간의 몸 안에서 발견된 콜라겐은 모두 28종이다.

 하지만 흔하게 볼 수 있는 건 1형ㆍ2형ㆍ3형ㆍ5형ㆍ10형 등 5개 정도다. 1∼3형이 대략 90%라고 보면 된다.

 콜라겐은 뼈, 피부, 연골, 결합 조직 등을 구성한다.

 세포외 기질은 보통 300∼400개의 분자로 구성된 입체 망사형 구조인데 콜라겐 단백질도 몇 종 들어 있다.

 물론 종양 미세환경에만 세포외 기질이 존재하는 건 아니다.

 이런 기질은 기능과 구조 면에서 몸 안 곳곳의 세포와 조직을 지지한다.

 연구팀은 종양의 세포외 기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해 포괄적인 DB(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특히 12형 콜라겐을 눈여겨봤다.

 이 콜라겐은 다른 유형의 콜라겐이 형성될 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세포외 기질이 입체 구조로 만들어지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팀은 생쥐 모델의 유방암 종양을 전 임상(pre-clinical) 초기부터 세밀히 관찰했다.

 여기서 종양이 발달함에 따라 세포외 기질을 구성하는 분자도 상당수 변한다는 걸 확인했다.

흥미로운 부분은 12형 콜라겐 수위가 높아지는 것이었다.

 12형 콜라겐은 종양의 성질을 바꿔 더 공격적인 암으로 만드는 것 같았다.

 특히 콜라겐이 구성되는 메커니즘에 변화를 가져오는 게 눈길을 끌었다.

 12형 콜라겐은 이를 통해 유방 종양에서 이탈한 암세포 무리가 폐 등 다른 기관으로 전이하는 걸 도왔다.

 콜라겐 수위를 조절하면서 실험해 보니, 12형 콜라겐 수위가 상승하면 암세포의 전이도 증가했다.

 암 환자의 종양 조직 생검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12형 콜라겐의 수위 상승은 분명히, 암세포의 전이 증가 및 생존 기간 단축과 관련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종양 미세환경의 어떤 요소가 암을 더 공격적으로 만드는지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논문의 수석저자를 맡은 토마스 콕스 부교수는 "암세포가 씨앗이라면 종양 미세환경, 특히 세포외 기질은 토양과 같다"라면서 "12형 콜라겐이 유방암의 발달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게 확인됐다"라고 말했다.

 12형 콜라겐은 새로운 전이암 치료 전략의 유망한 표적이 될 거로 보인다.

 공격적인 전이암을 미리 가려내는 진단 지표로 개발될 가능성도 크다고 한다.

 예컨대 유방암 환자의 종양 생검 등을 통해 12형 콜라겐 수치를 측정하면, 전이 확률이 높은 공 격적인 종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정강이뼈 뒤로 얼마나 기울었나' AI가 자동으로 측정
무릎 관절의 안정성 등에 관여하는 정강이뼈(경골)가 뒤쪽으로 얼마나 기울었는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국내 연구진의 주도로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노두현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촬영된 무릎 관절 측면 엑스레이 영상 1만여건을 바탕으로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경골 후방 경사각은 종아리 안쪽에 있는 경골을 옆에서 볼 때 관절이 얼마나 뒤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도다. 무릎 관절의 안정성과 무릎 수술 후 인공관절 수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각도가 크면 클수록 평소에 십자인대를 다칠 위험이 크고, 무릎 인공관절 수술 예후도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경골 후방 경사각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 같은 환자라도 측정하는 사람이나 무릎 엑스레이 촬영 각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이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수술 예후 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무릎 엑스레이 영상에서 무릎뼈의 해부학적 기준점 6곳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기준점을 이용해 경골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