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3% "기후변화의 건강 영향 심각"…78% "탄소중립 동의"

질병청, 기후보건 인식 제고 공개토론회 개최

 국민 3명 중 2명은 기후 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탄소중립정책에 대해서는 약 78%가 동의의 뜻을 표했다.

 질병관리청과 대한예방의학회는 30일 서울대 암연구소에서 '2022년 기후보건 위험 인식 제고를 위한 공개토론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월 29일~9월 7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천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기후변화가 건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3.2%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국민 63% "기후변화의 건강 영향 심각"…78% "탄소중립 동의" - 1

 이는 기후변화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는 응답(87.4%)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는데, 69.7%는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78.1%는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정부 정책에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이날 열린 공개토론회에서는 국내에서 처음 실시돼 지난 3월 발표된 '기후보건영향평가'의 활용 방안, 기후보건과 관련한 소통·교육·홍보 방안이 논의됐다.

 질병청은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라 5년 주기로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 영향을 조사·평가한다.

 권병기 질병청 건강위해대응관은 "기후변화와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높으나, 관련 정보의 전달은 부족하다"며 "기후보건에 대한 국민의 인식 제고를 위해 과학적 근거 기반 콘텐츠를 개발해 소통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대동맥류 환자, 10여년새 3배로…"스텐트시술 생존율 높여"
대표적 노인성 혈관 질환인 복부 대동맥류(AAA) 환자가 최근 10여년 사이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복부 대동맥류 환자는 2010년 4천148명에서 2022년 1만3천169명으로 약 3.2배로 늘어났다고 25일 밝혔다. 복부 대동맥류는 배 속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 일부가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대동맥이 파열되면 대량 출혈로 생명을 잃을 수 있어 '조용한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주요 원인은 혈관 벽을 약하게 하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이다. 특히 고령의 남성에서 다수 발생하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하다. 복부 대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복부나 등, 허리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복부에 쿵쿵 뛰는 듯한 박동감을 느끼는 것도 대표적인 의심 신호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대부분 대동맥이 파열하기 직전이거나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조기 진단을 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정기 검진으로 미리 발견해야 한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복부 대동맥류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인공 혈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