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산소 발생시켜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원자력연, 폐암·간암 등 다양한 암세포주 이용해 전임상시험 추진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는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89'(Zr-89)에서 발생하는 체렌코프 효과를 이용해 암을 죽이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체렌코프 효과는 195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러시아 과학자 체렌코프 박사가 발견한 현상으로, 전기적 성질을 가진 입자가 물속을 빛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를 운동할 때 빛이나 X선을 방출하는 효과이다. 원자로 수조가 푸른 빛을 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박정훈 박사 연구팀은 100㎚(1㎚는 10억분의 1m) 크기로 만든 산화타이타늄 나노입자 내부에 진단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를 넣었다.

 이어 나노입자 표면을 생체단백질인 트랜스페린으로 코팅하고, 트랜스페린 외부에 산화망가니즈를 첨가해 암세포 근처에서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산화타이타늄과 산화망간에서 발생한 활성산소는 암세포의 DNA를 훼손해 암세포를 죽인다.

암 억제 효과

 나노물질 내부 지르코늄-89에서 나오는 입자는 영상 진단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체렌코프 효과를 유발한다.

 여기서 발생한 자외선 때문에 산화타이타늄에서 활성산소가 발생한다.

 산화망가니즈는 암세포 주변 약한 산성 조건과 체렌코프 효과에 따라 분해돼 활성산소를 방출한다.

 정병엽 소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지르코늄-89에서 방출하는 감마선을 자외선으로 변환하는 데 성공해 방사선 변환 기술을 증명하는 데 성공한 것"이라며 "대장암 세포주 외 폐암·간암 등 다양한 세포주를 이용해 전임상시험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 AI 진단보조시스템 도입
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해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의료기관의 기존 PACS(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와 연동돼 실시간 진료에 활용된다. 폐결절, 유방암, 치매, 뇌졸중 같은 주요 질환의 영상 판독과 식약처 인증을 받은 설루션을 지원하는 등 의료진의 판독 업무를 보조해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게 된다.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은 3개 병원의 영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학습용 데이터로 전환해 의료 AI 기업의 데이터 확보 어려움을 해소하게 된다. 유신씨앤씨 컨소시엄이 수행하는 실증사업은 오는 11월까지 7개월간 진행된다. 컨소시엄에는 PACS 연동과 영상 데이터 가명화에 강점을 지닌 유신씨앤시, 폐결절과 유방암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진단 설루션을 보유한 루닛, 뇌질환 중심의 MRI 기반 분석 기술에 특화된 휴런 등 분야별 전문기업이 참여한다. 도는 사업 종료 시점에 맞춰 성과공유회를 열고 시스템 운영 결과와 의료데이터 활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하고 향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