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장 재공모에 교수 11명 대거 출사표

이달 중 이사회 거쳐 3월께 최종 임명될 듯

 임기 만료 8개월째인 서울대병원장 자리를 두고 11명의 후보가 경합을 벌인다.

 1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이사회가 지난달 31일 신임 원장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11명의 교수가 최종 입후보했다.

 이사회가 공식적으로 지원자 명단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서는 권준수(정신건강의학과)·김경환(흉부외과)·이은봉(류마티스내과)·김병관(소화기내과)·김영태(흉부외과)·박경우(순환기내과)·박재현(마취통증의학과)·방문석(재활의학과)·백남종(재활의학과)·조상헌(알레르기내과)·한호성(외과) 교수가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병원은 차기 원장 선임이 늦어지면서 작년 5월 임기가 끝난 김연수 병원장이 연임 도전을 포기하고도 '차기 선출 시까지 임기 자동 연장' 규정에 따라 8개월째 병원장직을 연장 수행 중이다.

 이사회는 이달 중 1차로 후보를 추린 뒤 2차로 1순위, 2순위 후보를 정해 교육부에 추천할 예정이다. 이후 교육부 장관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신임 원장을 임명한다. 신임 원장 취임은 3월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사회는 서울대 총장(이사장), 서울대 의대 학장, 서울대 치과병원장, 서울대병원장, 교육부·기획재정부·보건복지부 차관, 사외이사 2명으로 구성됐다.

 앞서 병원 이사회는 지난해 8월 공모를 통해 지원자 5명 중 두 명을 새 병원장 후보로 최종 추천했지만, 대통령실이 모두 반려함에 따라 재공모를 진행했다.

 특수법인인 서울대병원장 임기는 3년이며, 한 차례 연임할 수 있다. 서울대병원장이 되면 산하  분당서울대병원, 강남헬스케어센터,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원장에 대한 인사권을 갖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미세먼지, 자궁까지 파고드나…"난임질환 자궁내막증 악화"
여성의 자궁은 임신했을 때 태아가 자라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궁외막(가장 바깥층)과 자궁근층(가장 두꺼운 층), 자궁내막(가장 안쪽 점막층)으로 이뤄져 있다. 이중 자궁내막은 월경 주기에 따라 두께와 구조가 변화하며, 수정란이 착상하는 중요한 곳이다. 그런데 자궁 안에 있어야 할 내막 조직이 나팔관, 복막 등의 부위에 증식하면서 출혈, 염증, 유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바로 '자궁내막증'이다. 이 질환은 보통 가임기 여성의 10∼15%에서 발생하는데, 생리통과 골반통 같은 증상이 생길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임신을 어렵게 한다. 국내 자궁내막증 환자는 최근 5년간 50%가량 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다. 하지만 불특정한 증상 탓에 적절한 시기에 진단받지 못하고 질환에 대한 인식이 낮아 발병부터 확진까지 평균 5∼10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내막증의 가장 흔한 증상인 골반 통증이 보통 생리통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생리하는 여성들 상당수가 자신이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 채 지내다가 뒤늦게 병원을 찾는 것이다. 자궁내막증 발생에는 월경혈의 역류, 면역학적·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병이 생기는 근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