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때 줄었던 음주율 다시 늘었다…비만율도 증가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 관리는 개선…우울감 경험 증가세
질병청,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코로나19 유행 기간 줄었던 음주와 흡연율이 지난해 다시 높아지고 비만율도 증가하는 등 우리 국민의 건강 관리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고혈압과 당뇨병 치료율이 증가하면서 만성질환 관리 행태는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질병관리청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23만1천7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지역주민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고 보건의료계획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2008년부터 산출하고 있는 시·군·구 단위의 건강통계다.

 ◇ 한 달에 1회 이상 술 57.7%…흡연율도 증가

 코로나19 유행 속 2020년부터 감소하던 음주율은 작년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최근 1년간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신 적이 있는 사람의 비율은 57.7%로 전년 대비 4.0%P(포인트) 증가했다.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는 7잔(또는 맥주 5캔) 이상, 여성은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을 최소 주 2회 마신 '고위험음주율'은 12.6%로 전년 대비 1.6%P 늘었다.

 고위험음주율의 지역 간 격차는 16.0%P로 전년(15.7%P) 대비 소폭 증가했다. 고위험음주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 정선(22.1%)이고, 가장 낮은 곳은 세종(6.1%)이다.

' 평생 5갑(100개비) 이상 흡연을 했고 현재 흡연하는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흡연율은 2009년(26.7%)부터 감소해 2021년에 19.1%로 떨어졌지만, 작년에 0.2%P 증가해 19.3%가 됐다.

 성별 흡연율 증감에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 흡연율은 35.3%로 전년 대비 0.3%P 감소했지만, 여성의 경우 3.4%로 0.7%P 증가했다.

 전자담배 흡연율도 늘었다. 종류별로 액상형 흡연율은 2.3%, 궐련형은 4.3%로 각각 전년 대비 0.3%P, 0.7%P 증가했다.

 ◇ 국민 절반 주5일 30분 이상 걷지만…비만율 증가

  신체활동 지표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30분 이상, 최소 주 5일간 걸은 사람'의 비율은 47.1%로 전년 대비 6.8%P 늘었다.

'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20분 이상 주 3일, 혹은 하루 30분 이상 주 5일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율도 작년 23.5%로 전년 대비 3.8%P 증가했다.

 이처럼 신체활동은 늘고 있지만, 비만율은 오히려 증가했다.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보고 비만율'은 작년 32.5%로 전년 대비 0.3%P 증가했다.

 자가보고 비만율의 지역 간 격차는 25.0%P로 전년(17.7%P)보다 대폭 늘었다.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 단양(45.6%), 가장 낮은 지역은 경기 과천(20.6%)인 것으로 나타났다.

 

 ◇ 고혈압·당뇨 치료율 90% 상회…정신건강은 '빨간불'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의 치료율은 2021년에 이어 90% 이상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우리 국민의 만성질환 관리가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에게 해당 질환을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30세 이상의 비율은 고혈압의 경우 93.6%로 0.3%P 증가했다. 당뇨병 치료율은 91.8%로 0.6%P 늘었다.

 병원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은 줄고 당뇨병은 늘었다.

 의사에게 해당 질환을 진단받은 30세 이상의 비율은 고혈압의 경우 19.8%로 0.2%P 감소했고, 당뇨병의 경우 9.1%로 0.3%P 증가했다.

 자신의 혈압과 혈당 수치를 알고 있는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혈압 및 혈당수치 인지율은 각각 62.9%와 28.4%로 전년 대비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을 경험한 국민의 비율은 4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 최근 1년간 2주 연속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을 경험'한 국민은 작년 6.8%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끼는 사람은 23.9%로 2.3%P 줄었다. 그러나 이는 국민 4명 중 1명가량에 해당하는 높은 수준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신체활동은 나아졌으나, 코로나19 유행 이후 개선된 흡연, 음주율은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 청장은 "2022년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단계적으로 일상을 회복해 온 해로, 조사 결과에도 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개선 중이던 지표가 다시 나빠진 원인 등 관련 요인을 심층 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의학계의 화두, 장내 세균 지난 칼럼에 언급한 대로 현대인은 실질적인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무엇이 좋은 음식이고, 어떤 음식을 찾아 먹어야 할까? 결론은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왜 내가 아닌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할까. 여기에 답을 하려면 우선 장내세균이 무엇이고, 장내세균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흔히 장내세균, 즉 우리 장 속에 있는 세균이라고 하면 대장균을 떠올릴 것이다. 대장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여름철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나쁜 세균으로 생각한다. 대장균은 흔히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만 맞다. 어떤 음식에 대장균이 있다는 것은 본래는 동물의 대장에 있어야 할 대장균이 대변을 통해 그 음식으로 들어갔다는 말이므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장균은 장내세균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장내세균은 우리에게 엄청나게 중요한 균이다. 수십조 마리의 장내세균이 우리 몸속에서 살아가며 우리 몸의 건강과 면역기능 수행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