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절반은 집단급식소에서 발생"

식약처 "생채소, 5분간 염소살균제에 담그고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해야"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발생 2건 중 1건은 집단급식소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파악된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사례 162건 중 약 49%에 달하는 79건이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했다고 16일 밝혔다.

 집단급식소 중 학교 급식소가 전체의 28%를, 유치원·어린이집·기업체 집단급식소가 21%를 차지했다. 일반 음식점은 전체 발생의 43%인 69건을 기록했다.

 음식 종류별로는 무생채, 샐러드 등 채소류로 인한 대장균 식중독 발생이 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김밥 등 복합조리식품 25%, 육류 22% 순이었다.

 시중에 판매하는 식품용 염소살균제는 대부분 염소 농도 4만ppm 제품으로, 염소살균제를 물과 함께 약 400배 희석하면 100ppm을 만들 수 있다.

 집단급식소에서는 나물, 볶음 등 익힌 음식을 제공하고, 김치류는 숙성된 김치나 볶은 김치를 내는 게 권장된다.

 조리된 음식은 2시간 이내 섭취하고, 냉장 보관한 음식을 섭취할 땐 충분히 재가열해 섭취하라고 식약처는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