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응급의료상담, 지난해 182만명 이용…하루 평균 5천건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통한 질병상담과 응급처치, 병·의원 안내 등 상담처리 건수가 지난해 182만건으로 하루 평균 5천건에 이른다고 소방청이 25일 밝혔다.

 상담처리 건수는 2020년 131만건, 2021년 149만건 등 증가 추세다.

 하지만 119응급의료상담 서비스의 인지도는 아직 낮으며 최근 불거진 응급환자 이송 지연 문제로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소방청은 환자 상태 및 중증도 분류에 따른 병원 선정을 위한 상담·조정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또한 중증 응급환자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환자 정보를 확인하고 신고자(보호자)가 적절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소방청은 2020년부터 전 세계에서 시행 중인 재외국민 119 응급의료상담 서비스도 계속 홍보하기로 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