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5년 새 13% 감소…이용액은 60만원 넘게 올라

  최근 5년 사이 산후조리원 10곳 중 한 곳꼴로 문을 닫은 가운데 서비스 이용액은 60만원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산후조리원은 2019년 541개에서 올해 6월 469개로 72개 줄었다.

 특히 전체 시군구 229곳 가운데 100곳에는 산후조리원이 아예 없었다.

 같은 기간 민간산후조리원의 2주간 일반실 평균 이용 요금은 264만원에서 326만원으로 62만원(23.5%) 올랐다.

 전국에서 민간산후조리원 비용이 가장 높은 서울인데 평균 이용요금이 422만원에 달했다.

 매년 합계출산율은 줄지만, 산후조리원 이용 사례는 늘고 있다.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는 2019년 17만9천986명에서 2022년 18만4천688명으로 늘었고, 산후조리 원 이용률은 2018년 75.1%에서 2021년 81.2%로 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공공산후조리원은 올해 6월 기준 전국에 18곳에 불과하고,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8개 지방자치단체에는 아예 없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은 지자체가 운영하고 있어서 지자체별 재정 여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산후조리 지원도 인구 정책으로 포함해 국가가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영주 의원실 제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