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 전기자극으로 식욕 억제…전기연, 기술 연구개발 순조

신기영 박사팀 서울대병원과 임상 시험, 지원자들 식욕 감소 확인

 한국전기연구원(KERI, 이하 전기연)은 두뇌 전기 자극으로 식욕을 억제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이 기술은 전기연 전기의료기기연구단 전기융합휴먼케어연구센터 소속 신기영 박사팀이 진행하는 '대사증후군 치료 및 관리를 위한 생체 신경 자극 기술'이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높은 중성지방 등 여러 가지 대사 이상상태가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 증후군이다. 주로 나쁜 식습관과 운동 부족으로 발생한다.

 비만 치료제에는 약물 주사제, 의약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장기간 복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전기 자극 기술의 공식 명칭은 '경두개 불규칙 신호 자극'(tRNS, transcranial Random Noise Stimulation)이다.

 연구팀은 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tRNS 기술로 배외측전전두엽 피질에 비침습적으로 전기 자극을 수행하면 식욕 억제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전기연은 tRNS 자극의 임상적 유용성을 선행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상용 전기 자극기를 이용해 서울대병원 최형진 교수팀과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임상 시험은 tRNS를 받는 그룹 30명, 위약(가짜약) 그룹 30명 등 총 60명의 여성 지원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2주간 2∼3일 간격으로 총 6회 전기 자극(1회당 20분씩, 사람이 거의 느끼지 못하는 수준인 2㎃의 전류 활용)을 받은 그룹은 위약 그룹에 비해 식욕, 먹고자 하는 의향, 배고픔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임상이 2주만 진행돼 장기간 체중 감소 효과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참가자들은 식욕 억제 효과가 컸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올해 1단계(2022년∼2024년) 연구 종료 이후 2단계 사업 등 후속 연구를 통해 개발 기술을 학술적·임상적으로 검증하고, 기업체 기술 이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신기영 박사는 "추가 연구와 검증이 더 필요하지만, 기존 비만 치료제보다 부작용이 훨씬 적은 전기 자극 치료장비가 상용화된다면 식욕 억제 관리를 매일 집에서도 쉽고 간단하게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