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워지자 쯔쯔가무시증 매개 털진드기 증가…"야외활동 시 주의"

질병청 "긴 옷 입고 진드기 물린 자국 발견 시 의료기관 방문"

 질병관리청은 올해 42주차(10월 11∼16일) 쯔쯔가무시증 주요 매개체인 털진드기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했다며 야외 활동 시 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22일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쯔쯔가무시증을 옮기는 털진드기 지수는 올해 41주(10월 3∼10일) 0.17에서, 42주차 0.29로 높아졌다.

 올해 42주차 털진드기 지수(0.29)는 작년 42주차(0.91)보다 낮지만, 앞선 3년(2020∼2022년) 42주차 평균(0.28)보다는 높다.

 이에 따라 털진드기는 9월 말부터 10월 초(40∼42주)에 증가하기 시작하고, 환자는 10월 중순부터 11월 중순(43∼47주)까지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이다.

 쯔쯔가무시증의 잠복기는 10일 이내이며, 진드기에게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 관찰된다. 발열과 오한, 근육통, 발진,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은 0.1∼0.3%다.

 국내 쯔쯔가무시균을 옮기는 털진드기는 활순털진드기, 대잎털진드기, 수염털진드기, 동양털진드기, 반도털진드기, 사륙털진드기, 조선방망이털진드기, 들꿩털진드기 등 총 8종으로 알려져 있다.

 작년 감시 결과 남부와 서부, 북부 일부에서 활순털진드기가, 중부와 북동부 지역에서 대잎털진드기가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추수기와 가을 단풍철에 털진드기와 접촉 확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야외활동 시에는 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옷을 착용하는 등 예방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초기에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므로, 야외활동 후 진드기에 물린 자국기 관찰되고 10일 이내에 발열·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털진드기 트랩지수 및 환자수와 평균기온(2023∼2024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혈당 스파이크 두렵지만 디저트 당긴다면…"공복보단 식사 후에"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가 두렵지만 달콤한 디저트를 도저히 포기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혈당 스파이크를 막기 위해 먹는 순서를 바꾸라던데 진짜 효과가 있는 걸까. 식후 급격한 혈당 변동을 일컫는 혈당 스파이크는 공식적인 의학 용어도 아니고 정확한 기준도 없지만,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뜨거운 키워드가 됐다. 조영민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최근 신간 '혈당 스파이크 제로(ZERO)'(서삼독)를 펴내며 혈당 스파이크의 개념부터 관리 방안 등을 총망라한 건강한 삶의 길잡이를 제시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혈당 스파이크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공복 혈당에 비해 식후 혈당이 50mg/dL 이상 상승하거나 식후 혈당이 140mg/dL 이상으로 오를 때를 칭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혈당이 조금만 올라도 혈당 스파이크가 아니냐고 걱정하는 일반인 대부분은 정상 범주에 속한다. 식사 후 자연스러운 혈당 상승과 혈당 스파이크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다. 식사 후 정상적인 혈당 상승이 아닌 혈당 스파이크가 자주 발생한다는 건 고혈당을 유발하는 음식을 자주 먹는다는 방증이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