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의료급여 수급권자, 심뇌혈관질환 사망률 높고 암 생존율 낮아

급성심근경색 사망률, 의료급여 수급자가 건강보험 적용자의 2배

 저소득층인 의료급여 수급자의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이 건강보험 환자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명옥 의원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진료받은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4만2천741명으로, 올해 10월 중순까지 이 중 5.21%인 2천226명이 사망했다.

 이런 사망률은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는 환자의 2.19%(환자 13만4천46명 중 2천934명 사망)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이다.

  뇌경색증(허혈성 뇌졸중) 역시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작년 진료 뒤 올해까지 사망한 비율은 5.65%(환자 11만6천734명 중 6천595명 사망)로 건강보험 급여 적용 환자의 3.54%(환자 51만4천551명 중 1만8천219명 사망)보다 1.5배 이상 높았다.

 그는 "중증질환 산정특례제도의 경우 심뇌혈관질환에 대해서는 선천성 심장기형, 심장이식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최대 30일만 적용된다"며 "복지부는 심뇌혈관질환의 급성기 치료가 30일 이내에 마무리되고 진료비도 해당 기간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이유로 기간 연장에 신중한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심뇌혈관질환은 급성기 증상이 당장 사라지더라도 증상 악화의 위험이 상존해 지속 치료가 필요하다"며 "취약계층을 위한 심뇌혈관질환 산정특례 기간 연장, 치료비 지원 등의 국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찬가지로 암 환자 생존율 역시 의료보험 수급자가 건강보험 적용 환자에 비해 낮았다.

 소병훈 의원이 국립암센터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의료급여 수급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건강보험 급여 적용 환자에 비해 위암 22.7%, 대장암 20.4%. 간암 27.2%, 유방암 13.5%, 자궁경부암 16.6% 각각 낮았다.

 소 의원은 "소득 수준에 따른 암 환자 생존율 차이는 의료급여 수급자의 낮은 암 검진 수검률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수검률을 높일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작년 의료급여 수급자의 암 검진 수검률은 건강보험 급여 적용자보다 위암 28.2%포인트, 대장암 22.4%포인트, 간암 28.1%포인트, 유방암 18.5%포인트, 자궁경부암 29.3%포인트, 폐암 16.4%포인트가 각각 낮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