깐풍기·라조기·유린기…우린 '기' 삼형제

 짜장면이냐, 짬뽕이냐 늘 고민입니다. 너나없이 줄줄이 둘 중 하나를 주문합니다. 그러던 끝에 맨 마지막 제 차례를 맞아 "난, 기스면이요"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마음에 듭니다. 맑고 깊은 닭 육수 맛을 좋아하는 그는 틀림없이 담백한 성격의 소유자일 것 같기에. 또 주체적 결단(ㅎ)을 내리는 모습으로 미뤄보아 줏대가 좀 있을 것 같기에.

 몇 가지 말을 익히면 중국요리 메뉴를 고를 때에도 재미가 있습니다. 자장이라고도 하는 짜장을 한자로 옮기면 炸醬(작장)입니다. "기름에 튀기며 볶은 장"이라는 뜻입니다. 간짜장의 '간'은 마를 건(乾)에서 비롯됐습니다. 국물이 없는 마른 장이라는 의미입니다. 유니짜장을 파는 음식점도 많습니다. 유니(油膩)는 "기름지고 느끼한 짜장"을 일컫습니다. 유니짜장은 다진고기의 맛과 향, 식감도 중요합니다.

 기스면은 다른 음식입니다. 맑게 우려낸 닭 육수에 실처럼 찢은 닭고기를 사용한 면요리이지요. 이 대목에서 공식 하나를 기억해둡시다. 우리가 많이 찾는 중국음식 이름 중에 '기'가 들어가 있으면 닭고기 요리라는 것을요. 닭 계(鷄)가 우리말로 '기'로 발음되고 표기되는 낱말들입니다.

 한자를 보십시오. 기스면은 닭 계 실 사 면 면, 즉 鷄絲麵이라고 씁니다. 기가 쓰였으니 닭고기를 사용했을 겁니다. 또 실 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실처럼 고기를 찢어 넣어겠구나 하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라조기 깐풍기 유린기도 같은 '기'자 돌림 삼형제입니다.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향문천, 『향문천의 한국어 비사』, 김영사, 2024 (p 276∼277 인용)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3. 네이버 국어사전

4. 동아 백년옥편 전면개정판(2021년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