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암 매년 40만명, 사망률 70%"…치료제 보급사업 개시

 전 세계에서 매년 40만명씩 새로 생기는 어린이 암 환자가 치료제를 구하지 못해 숨지는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중·저소득국을 대상으로 치료제 보급 사업을 시작했다.

 WHO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세인트 주드 어린이 연구병원과 공동으로 '소아암 치료제 접근을 위한 글로벌 플랫폼' 사업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소아암 치료제를 중·저소득국에 공급하는 사업으로, 이미 몽골과 우즈베키스탄에 초기 물량이 지원됐다.

 에콰도르와 요르단, 네팔, 잠비아 등에도 이달 내로 치료제가 공급된다고 WHO는 전했다.

 WHO에 따르면 매년 40만명의 어린이가 급성 백혈병과 뇌종양, 림프종 등 소아암 진단을 받는다.

 소아암 환자 10명 가운데 7명꼴로 병을 이기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다.

 저소득국에서는 치료제를 구할 수 없거나 비싼 약값 탓에 이렇다 할 치료를 못 하고 목숨을 잃는 어린이 암 환자들이 많다는 지적이다.

 WHO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 말 세인트 주드 병원과 손잡고 치료제 무료 보급 사업을 준비해왔다.

 병원 측은 향후 6년간 2억 달러(2천900억여원)를 투자해 WHO와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고 이날 공식 개시를 발표했다.

 이 사업은 6년여간 50개국에 치료제를 공급해 12만명의 어린이를 치료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삼는다.

 사업 진행 과정에서 각국 정부와 제약업계, 비정부기구(NGO)가 동참해 소아암 치료 사업의 규모를 불리겠다는 게 WHO의 구상이다.

 안드레 일바위 WHO 암 관리 프로그램 기술 책임자는 "어떤 어린이도 의약품을 구하지 못해 숨져서는 안 된다"며 "소아암 치료를 위해서는 여러 이해관계자의 협력과 적절한 의료 서비스 접근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