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찾은 자해·자살 시도자 한해 4만6천명…45%가 '1020'

2023년 통계…자해·자살 시도자 중 사망은 50대에서 가장 많아

 2023년 한해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자해 시도자가 4만6천명을 넘었고, 이 중 절반 가까이가 10∼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센터급 이상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583만676건 중 자해·자살 시도자는 4만6천359건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여성이 2만9천607건으로 63.9%를 차지했고, 남성은 1만6천752건이다.

 연령별로 보면 남녀 모두 20대가 가장 많았다.

 20대가 1만2천592건, 10대가 8천308건으로 전체 자해·자살 시도자의 각각 27.2%, 17.9%였다.

 10∼20대 자해·자살 시도는 2만900건으로 전체의 45.1%를 차지한다.

 이 밖의 연령대에선 30대 6천590건, 40대 6천159건, 60대 3천441건, 70대 2천81건, 80대 이상 1천839건 순이었다.

 인구 10만명 당으로 봐도 20대 200.2건, 10대 177.9건, 30대 100.4건 순으로 많았다.

 응급실을 찾은 자해·자살 시도자 중 사망으로 이어진 사례는 2천289건이었는데, 50대와 40대 등 중년에서 많이 발생했다.

 자해·자살 시도자 사망 건수는 50대 372건, 40대 348건, 60대 338건 순이다.

 인구 10만명당으로 산출하면 자해·자살 시도자의 사망은 4.5건 발생했고, 이때는 80대 이상이 13.7건으로 확연히 높았다.

 이어 70대 8.1건, 60대 4.5건이다.

 자해·자살 시도자의 손상 원인은 중독, 베임·찔림, 질식 순으로 많았다.

 모든 연령대에서 중독이 1위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