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수 나눈 모녀 모발이식 성공…국내 두 번째 사례

황성주 명지병원 모발센터장 "새로운 삶 자신감 이어지도록 노력"

 경기 고양시에 있는 명지병원은 황성주 모발센터장이 골수를 나눈 모녀간 모발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국내 두 번째 사례로, 첫 수술 또한 2005년 황 교수가 진행했다. 

 일반적으로 타인의 모발을 이식하면 면역 거부반응이 강하게 나타나 수술이 어렵다.

 하지만 이번 골수이식 기증자와 수혜자는 혈액 속 면역세포가 같기 때문에, 모발을 이식해도 면역 거부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작다.

 이번 수술은 사춘기 딸에게 자기 골수를 기증한 어머니가 모발도 이식한 사례다.

 두 차례에 걸쳐 6천모를 이식했으며, 상담 과정에서 어머니는 10대 딸의 미래를 생각해 더 많은 것을 주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황 센터장은 향후 6∼7천 모낭을 추가 이식해 총 1만 3천모까지 이식 계획을 세웠다.

 황 센터장은 모녀간 나이 차이로 흰머리도 이식될 가능성을 중요하게 고려했다.

 이에 따라 흰머리가 많이 자라는 옆머리 모발은 눈에 잘 띄지 않는 뒤쪽으로, 검은 머리가 상대적으로 많은 뒤통수 중앙부 모발은 딸 앞머리로 이식했다.

 특히 골수이식 환자의 모발이식은 이식 기술뿐만 아니라 환자의 면역 상태분석과 감염 및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그런 면에서 명지병원 모발센터가 갖춘 체계적인 시스템과 맞춤형 치료 해법이 큰 효과를 발휘했다는 평가다.

 황성주 센터장은 "골수이식을 통한 생명의 기적이 모발이식을 통해 새로운 삶의 자신감으로 이어지도록 더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황성주 센터장은 2005년 국내 최초로 골수를 나눈 자매간 모발이식에 성공하며, 골수이식 환자의 모발이식 가능성을 입증한 바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콩팥병 필수 재택치료 '복막투석'…"10년 내 사라질 위기"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환자 중심의 재택 치료가 주목받고 있지만 말기콩팥병 환자가 병원 대신 집에서 받을 수 있는 '복막투석'은 외면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의기협)는 4월 28일부터 5월 18일까지 20세 이상 성인 1천184명(일반인 768명, 환자 및 보호자 416명)을 대상으로 말기콩팥병과 투석 치료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이날 의기협과 대한신장학회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공동 개최한 '급증하는 말기콩팥병, 지속 가능한 치료의 길-재택 복막투석 활성화 정책 방안' 심포지엄에서 발표됐다. 만성콩팥병은 콩팥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손상된 경우로, 병세가 진행되면 암보다도 더 큰 진료비를 부담하는 말기콩팥병에 이르게 된다. 말기콩팥병 환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는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하다. 투석은 집에서 할 수 있는 복막투석과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혈액투석으로 나뉜다. 대한신장학회에 따르면 2010년 5만8천여명 수준이던 말기콩팥병 환자 수는 2023년 약 13만7천명으로 13년 만에 2.3배 증가했다. 하지만 혈액투석 대비 의료비용이 적은 복막투석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