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게릭병 원인 단백질 응집 막는 나노소재 개발

기초지원硏 등 "세포·동물모델에서 그래핀 양자점의 치료 효과 확인"

 한국기초과학연구원(이하 기초지원연)은 근위축성 측색경화증(일명 루게릭병)의 원인 단백질인 'TDP-43'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나노소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루게릭병은 운동신경 세포의 파괴로 인한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신경세포 내 TDP-43이 비정상적으로 응집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초지원연 이영호 박사팀은 동아대 의대 홍영빈 교수팀, 한국뇌연구원 남민엽 박사 연구팀, 서울대 홍병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그래핀 양자점(Quantum Dot·수 나노미터 크기 반도체 입자)이 TDP-43 단백질의 단백질 응집체 형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확인했다.

 실험을 통해 생체 적합성이 높고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그래핀 양자점이 TDP-43 단백질과 직접 상호작용해 단백질 응집을 막고, 신경세포에서 TDP-43 관련 독성을 줄이며 세포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와 함께 세포 내 액액상분리(LLPS·단백질이 농도에 따라 상이 분리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응축체가 만들어짐) 현상을 제어함으로써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낸다는 것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루게릭병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 단백질인 'FUS' 등에 대해서도 그래핀 양자점이 신경 보호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신경 보호나 항염증 효과에 중점을 둔 치료제와 달리 단백질 응집을 직접적으로 타깃으로 하는 치료 기술로, 루게릭병뿐만 아니라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영빈 교수는 "다양한 세포·동물모델에서 그래핀 양자점의 치료 효과를 검증했다"며 "앞으로 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을 거쳐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지난 4일 자에 실렸다.

연구성과가 실린 ACS 나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병용요법 보험적용에 암환자 숨통…희귀질환자 접근성은
다음 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 건강보험 적용 항암제와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지난 18일 행정 예고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개정안을 '급여기준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논평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모임인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도 환영 의사를 표했다. 다만 이들 환자단체와 제약업계 모두 이번 개정안을 환영하면서도 국내 환자들의 낮은 치료 접근성을 언급하며 약가 제도 및 건강보험 급여체계 개편 논의가 환자 중심으로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평가한 점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두 제도 모두 정부의 재정 안정성이 환자 치료 기회 보장보다 우선시되고 있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대부분 고가인 혁신 신약 및 병용 위주로 변화하는 항암 치료법이 해외에서는 이미 도입됐지만 국내 환자들은 비교적 뒤늦게 급여 혜택을 받게 됐다. 지난 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병용요법의 암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는 "제약업계의 항암 치료 파이프라인(개발 중인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