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건강식품 ‘글램스 부스터’ 일본 아마존 공식 입점

쉐이퍼의 여성 건강식품 브랜드 글램스(대표 이윤경)는 22일  대표 제품 ‘글램스 부스터(GLAMSS BOOSTER)’가 일본 아마존(Amazon Japan)에 공식 입점했다고 밝혔다.


이번 입점은 ‘글램스 부스터’의 제품력을 바탕으로 일본 현지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램스 부스터’는 천연 식물성 원료를 기반으로 한 여성 맞춤형 건강식품으로, 1일 2정 섭취 형태의 복용 설계를 통해 바쁜 일상 속에서도 간편하게 건강 루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글램스는 ‘글램스 부스터’를 중심으로 여성 건강에 특화된 다양한 제품군을 구축해 왔으며, 이번 일본 아마존 입점을 통해 더 많은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이너뷰티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ng@gmail.com)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