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주의보 발령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418/art_17459856648539_392515.jpg)
환경부는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5∼8월에 '오존 집중관리 방안'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오존은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자외선에 광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생성된다.
이에 볕이 강한 5∼8월 오후 시간대에 농도가 짙다.
고농도 오존에 노출되면 기침, 목 아픔,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기관지염과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이 악화한다.
오존주의보 발령일은 2014년 29일, 2016년 55일, 2018년 66일, 2020년 46일, 2022년 63일, 2024년 81일 등으로 증가세다.
환경부는 대기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사업장이 몰린 지역을 집중관리구역으로 선정해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대기오염물질 배출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다.
오존주의보가 많이 발령되는 지역의 질소산화물·휘발성유기화합물 다배출 사업장과 도료 제조·수입·판매 사업장 점검을 강화하고 날림먼지를 배출하는 사업장 가운데 관리가 미흡한 곳에는 밀폐·포집시설 설치와 관련 기술을 지원한다.
질소산화물과 관련해서는 1천200여곳의 다배출 사업장에 작년보다 3.4% 적은 18만6천t의 배출허용총량을 부여했다.
배출가스 4·5등급 차량 조기폐차 지원 대상은 올해 경유차에서 휘발유·가스차까지 확대했다.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해서는 주유소 유증기회수설비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기술을 지원하고 도료업체가 휘발성유기화합물 함량이 낮은 수성도료를 개발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오존 원인 물질 집중관리와 상시적 저감 대책으로 국민 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