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이상 지방간 발병·악화 유도하는 유전물질 첫 규명"

UNIST·부산대·울산대병원 연구…"비타민 B3로 효과적 억제 가능"

 대사 이상 지방간을 악화시키는 유전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최장현 교수팀은 부산대 약학대 윤화영 교수팀, 울산대병원 박능화 교수팀과 함께 간에서 발현되는 마이크로RNA-93(miR-93)이 대사 이상 지방간의 발병과 악화를 유도하는 유전물질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지방간을 앓고 있는 환자와 동물 실험 모델에서 miR-93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았는데, miR-93이 간세포에서 지방 대사와 연관된 SIRT1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방식의 분자 기전을 통해 지방 축적과 염증 반응, 섬유화 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유전자 편집을 통해 miR-93 생성 기능을 제거한 실험 쥐는 간 내 지방 축적이 눈에 띄게 감소했고, 인슐린 민감도와 간 기능 지표가 크게 개선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반면 miR-93을 과도하게 발현시킨 쥐는 간 대사 기능이 악화했다.

 연구진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승인 약물 150종을 대상으로 스크리닝을 진행해 miR-93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이 비타민 B3로 알려진 니아신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실험에서 니아신을 투여한 쥐는 간 내 miR-93 수치가 크게 감소했고, SIRT1 유전자의 활성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활성화된 SIRT1은 지방산 분해를 촉진하는 신호 전달 경로를 다시 작동해 무너졌던 간 내 지질 대사 기능을 정상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대사 이상 지방간의 분자적 발병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이미 승인된 비타민 성분으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임상 적용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어 "고지혈증 치료제로 활용되는 니아신은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인 만큼 miRNA 기반 복합 치료 전략에도 적용할 수 있는 유력 후보"라고 덧붙였다.

 이런 연구 결과는 지난달 12일 생의학 분야 학술지 '메타볼리즘: 클리니컬 앤드 익스페리멘털'(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온라인판에 공개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국신약개발재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의 지원을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