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상황 구조 요청하세요" 외국인 근로자 '119 생명어' 배포

부산 강서소방서, 6개국 자국어 표기법 5가지 표현 제작

 부산의 한 소방서가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긴급 상황에서 필요한 5가지 표현을 소개하는 '119 생명어'를 제작했다.

 부산 강서소방서는 화재 등 긴급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자국어 표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안내자료인 '119 생명어'를 제작해 배포했다고 7일 밝혔다.

 '불이야', '도와주세요', '119에 신고하세요', '사람이 안에 있어요', '이쪽으로 대피하세요' 등 위급상황 시 필요한 5개의 문장을 각 나라의 문자로 한국어 발음과 함께 표기했다.

 119 생명어는 화재 등 긴박한 상황에서 말이 통하지 않아 구조나 신고가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외국인 근로자가 위급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한국어로 구조나 대피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시현 강서소방서장은 "외국인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 '119 생명어'는 직접 한국어를 발음해 구조 요청을 할 수 있게 만든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강서구 뿐만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산업단지와 건설 현장에서 119 생명어가 널리 배포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