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한 마무리' 도운 1만1천시간…예은주씨 LG의인상 수상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서 20년 넘게 봉사

  20년 넘게 호스피스 병동에서 자원봉사를 하며 환자들의 존엄한 삶의 마무리를 도운 예은주 씨가 LG복지재단의 LG의인상을 수상했다고 17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이 밝혔다.

 서울성모병원에 따르면 예씨는 제254호 LG의인상 수상자로 선정돼 전날 이 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경당에서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로부터 상을 받았다.

 은행에 다니다 일찌감치 퇴직하고 미용기술을 배운 예씨는 2001년부터 지역 사회복지관에서 장애인과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동 목욕과 이·미용 봉사를 시작했다.

 직접 미용실을 운영하기도 했으나 "행복하지 않아" 2년 만에 접었다는 예씨가 호스피스 병동에서 봉사를 하며 보낸 시간은 무려 1만1천여 시간. 사회복지관 봉사까지 치면 총 2만6천여 시간으로, 하루도 쉬지 않고 8시간씩 봉사한다고 해도 9년에 달하는 시간이다.

 LG복지재단은 "환자의 존엄하고 편안한 생애 말기를 위해 헌신해 온 예은주씨의 봉사정신이 널리 기억되길 바란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예씨는 "호스피스 병동에서의 시간은 저에게도 큰 배움이었다"며 "환자와 가족분들께 조금이나마 힘이 될 수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하다. 앞으로도 봉사자의 마음을 잃지 않고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말기 진행암 환자의 임종 직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이 급증하는 경향이 있어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는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와 이대목동병원 김정한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2002년~2021년 수집된 진행암 환자 51만5천여명의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광범위 항생제 사용 실태를 분석했다. 광범위 항생제는 여러 가지 세균에 효과를 가진 항생제다. 항생제 내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데 강력한 효과 때문에 정상 세균까지 공격할 수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고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진행암 말기 환자는 실제 감염이 없어도 발열이나 염증 수치만으로 광범위 항생제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내성균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은 물론, 더 고강도 항생제를 써야 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임종 전 6개월간 조사 대상의 절반 이상인 55.9%가 이러한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시기를 ▲ 임종 직전 1주 ▲ 임종 직전 1~2주 ▲ 임종 직전 2주~1개월 ▲ 임종 직전 1개월~3개월 ▲ 임종 직전 3개월~6개월 등 5개 구간으로 나눠 살펴봤더니 광범위 항생제 사용률은 임종 전 '1